기사상세페이지
[기고] 작다고 무시한 불티, 무시무시한 화재로 돌아옵니다. (공사장 용접․불티로 인한 화재예방)
기사입력 2022.07.20 13:24 | 조회수 1,307
2020년 경기 이천 물류센터 신축공사장에서 용접 작업 중 발생한 불꽃이 천장 마감재 속 우레탄 폼으로 튀며 화재가 발생하여 사망 38명, 부상 10명의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전국 공사장 용접ㆍ불티로 인한 화재는 최근 5년간(‘17 ~‘21년) 5564건으로 사망 28명, 부상 415명의 인명피해와 1200억여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을 소방청 통계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장마철인 여름을 제외하고 매월 486건 정도가 발생하고 있어, 용접 관련 화재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용접 화재는 1600~3000℃까지 고온으로 올라가며 그 열기로 인해 자체 발화하기도 한다. 또 불티 크기가 매우 작아 공사장 빈틈 곳곳으로 떨어져 연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까지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작지만 무시무시한 용접․불티로 인한 공사장 화재․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지켜야 할 안전 수칙만 지켜진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첫째, 공사장 작업자는 화재 예방을 위해 용접ㆍ용단 작업 전 건축물 안전관리자에게 작업 장소를 사전 공지해야 한다. 또 화재감시자를 지정ㆍ배치해 현장 위험요인을 직접 확인한 후 사전 안전조치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특히 화재감시자는 용접 작업 장소에 마른 모래(건조사)나 방염 시트, 불꽃받이 등을 비치해 작업 중 화재 발생을 감시해야 한다.
둘째, 작업 중엔 화재 위험성이 있는 가연물을 격리하고 안전조치해야 한다. 용접ㆍ절단 등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티가 비산해 공사장 안에 쌓인 가연물에 접촉하면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다.
셋째, 외부 지정된 장소에서 흡연으로 담배 불티 비산을 막아야 한다.
대부분의 공사장은 흡연 장소가 따로 구획돼 있지 않아 작업장 내 흡연으로 담뱃재나 꽁초 투기에 의한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떨어진 외부 장소에 구획된 흡연부스를 설치해 담배 불티 비산을 막아야 한다.
넷째, 작업이 끝난 후에는 작업장 주변에 남은 불씨가 있는지 1시간 이상 확인해야 한다. 간혹 남아있던 확인되지 않은 불씨가 가연물과 접촉해 축열되면서 화재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고는 ‘이 정도면 괜찮겠지’라는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다.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인다면 나와 내 가족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
영광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임효진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1호 청년명예 ‘부군수’는 누가?…영광군, 모집 ‘임박’
- 2영광군 백수읍 이장단-광산구 하남동 통장단과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업무 협약
- 3염산면, 복숭아 수확철 맞아 농가 일손돕기 나서
- 4[인터뷰] “군민과 함께 걷는 의회, 김강헌 의장의 의정 철학을 듣다”
- 5염산면, ‘온기 나눔’과 함께 시원한 여름 선물 전달
- 6대마면 종돈개량사업소 임직원, 고향사랑기부금 270만 원 기탁
- 7영광소방서, 제21대 대통령선거 대비 투표소 화재안전조사 실시
- 8영광군, 숙박업소 대표자 간담회 개최
- 9햇빛이 돈으로…장세일 군수 공약, ‘기본소득 시동’
- 10영광군, 가정의 달 맞아 저출산 극복과 출산장려를 위한 거리 캠페인 전개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