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2018년에 방송을 마친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의 ‘선택 2014’는 흥미로웠다. 당시 무한도전 선거는 향후 10년 동안 방송을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뽑는 재미를 이끌어내기 위한 모방선거였지만 현실 정치와 너무 흡사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선거방식부터 유사했다. 후보자들의 선거유세와 재미와는 거리감 있는 현실의 사회자를 동원한 후보자 토론회도 있었다. 개표방송은 더욱 그랬다. 현직 아나운서에 의한 출구조사 발표는 물론이고 지역별·연령별 지지도와 무한도전의 미래를 논의하는 전문가 토론까지 이어졌으니 실제 선거방송을 보는 듯 했다.
지난 3월 8일 전국 17개 시도 2,022개 투표소에서 투표를 실시한 결과 1,346명의 농·수·산림조합장이 선출되었다. 각 조합 후보자들은 13일간 선거인(조합원)들에게 자신의 공약 등을 알리면서 열심히 선거운동을 했고 당선자와 낙선자가 결정된 것이다.
우리 사회에는 초등학교 반장선거부터 대통령선거까지 생활주변의 곳곳에서 대표자를 뽑는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면 우리는 왜 이러한 선거결과에 승복하는 걸까?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민주주의 체제하에 살아간다. 그리고 민주주의를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민주주의에 가치를 두는 것은 민주주의가 ‘표현의 자유’, ‘이상 및 이익 추구를 위한 결사의 자유’, ‘정치적 평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합법적인 선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각자 추구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한다고 한다. 반면 민주주의는 사람들이 직접 통치자를 선택하고 통치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갈등을 비교적 자유롭고 평화롭게 해결한다고 한다.
이미 많은 선거경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선거문화는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깊이 있게 정착되어 있다. 정치패러디에서 조차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결과에 대한 우아한 승복과 화합이 이번 조합장선거에서 뿌리내리기를 기대해 본다. 아울러 민주주의 꽃인 선거를 통해 당선된 조합장은 우리 조합의 발전을 위해 공약을 실천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블랙박스 공포’에 갇힌 영광…군민 분노 폭발
- 2싱어송라이터 그려준, 네 번째 싱글 ‘빛방울’ 정식 발매
- 3환경부 안마도 꽃사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고 관리 강화 추진
- 4한빛원전에 납품된 핵심 부품 베어링 92개 불량품으로 판명
- 52025 청년봉사단 ‘같이’, 제1회 댕댕이 꽃마을 입양제서 유기견 봉사활동 펼쳐
- 6군서면 관내 어르신 부부 가정에 ‘사랑의 밥그릇’ 전달
- 7영광군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의왕시청소년수련관과 MOU 체결
- 8영광교육지원청, 2025.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역량강화 연수 실시
- 9백수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랑의 밥그릇” 전달
- 10영광군, 지방소멸대응 영광군 떡산업 활성화를 위한 신제품 전시회 개최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