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영광이 주도하는 지역의 ‘내일’

기사입력 2025.05.07 13:08 | 조회수 590

SNS 공유하기

ka fa
  • ba
  • url

    1391787_452307_4357.jpg

    영광 계마항이 해양수산부의 ‘클린 국가 어항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15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고, 영광은 이제 ‘친환경 복합 어항’이라는 새로운 비전 앞에 서 있다. 계마항은 오랫동안 지역 어업의 중심이었지만, 관광과 환경을 아우르는 항만으로서의 도약은 이번이 사실상 첫걸음이다.

    공모라는 틀 안에서 영광군은 치밀한 전략과 행정 역량을 통해 계마항의 가능성을 증명해냈다. 특히 해양 쓰레기 처리, 방파제 안전 시설, 체류형 관광지 조성 등 11개 세부 사업은 단지 항만 정비를 넘는, 지역 생활 인프라 전반의 변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주목할 점은, 이번 국비 확보가 단발성 사업이 아니라 장기적인 지역 구상의 일환이라는 점이다. 영광군은 계마항을 기점으로 스마트 항만 시스템, 탄소중립형 인프라까지 포괄하는 ‘지속 가능한 해양 도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예산 유치에서 벗어나, 기획과 미래 전략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흐름은 대선을 앞두고 군이 추진하는 지역 공약 전략에서도 엿보인다. 에너지, 농수산, 복지, 교통, 관광까지 8개 핵심 사업을 정리해 각 정당에 전달하는 움직임은, 영광이 이제 더 이상 중앙의 결정을 기다리는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지역이 먼저 구상하고, 중앙에 제안하는 시대. 지방 정부의 역할이 바뀌고 있다.

    물론 중요한 것은 ‘실행’이다. 국비 확보라는 사실보다, 지역민의 삶 속에서 어떻게 체감되는지가 성공의 기준이다.

    앞으로 필요한 것은 행정 설명력, 주민 협력,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제도 설계다.

    계마항은 어쩌면 지방 정부가 단지 예산을 ‘소진’하는 곳이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는 주체로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 상징이다. 이 성과가 방향을 잃지 않도록, 군정의 걸음이 계속해서 지역민을 향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