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늦어지는 공정에 안전절차 무시
경험 없는 관리자에 교육마저 미흡
제어봉시험 직원들의 장시간 근무도 원인
원안위의 특별조사 중간 발표를 취재하기 위해 모인 언론사들의 취재모습
결국 인재 였다. 생산성 중심의 조직문화에 안전은 뒷전이었다. 지난 6월 24일 원안위가 한빛1호기 사건 특별조사 중간결과를 발표 했다. 원인은 인재였다. 원안위는 제어봉의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이 중요한 절차임에도 한수원이 안전 절차를 무시했다며 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원안위는 조사 결과, 계획 예방정비 후 원전 기동공정의 경우 24시간 연속 수행 되고 있으며 교대근무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대된 발전팀에게 안전에 필요한 작업전회의 없이 공정 지연이 주요사항으로 전달 되는 등 계획된 공정 준수가 중요시 되는 관행이 확인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사고 당시 근무조의 원자로 차장이 계획 예방정비 기동 운전 경험이 없었고 사고 순간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하는 상황에서 반응도 계산조차 틀리게 하고 동료점검도 없어 반응도 계산의 정확한 재검토도 이뤄 지지 않는 것이 확인 됐다. 기준치 5%를 넘어지만 즉각 수동중단을 하지 않았던 이유도 인적 오류였다. 당시 원전차장등은 원자로 내부 열출력값이 아닌 2차계통의 열출력값이 –1.05%였다고 주장 했지만 조사 결과 2차 측 열출력값도 5%를 초과 한 사실이 확인 되었다. 원안위 특별조사단은 사건 당시 제어봉의 과도한 인출경위, 열출력 급증에 따른 핵연료 건정성, 제어봉 구동설비의 안전성, 원안법 위반 등 미비 사항에 집중 조사하고 있다.
▶ 핵연료 건전성 확인 결과
원자로냉각재 내 핵연료 손상시 발생하는 제논(Xe), 크 립톤(Kr), 요오드(I) 등의 방사능 준위변화를 확인한 결과 핵연료 손상의 징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제어봉설비의 건전성 확인 결과
5월 10일 실시한 제어봉 제어능 시험 초기에 발생한 제어군 B내 두 그룹간 2단 위치편차는 제어봉 조작자의 조작 미숙에 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어봉 구동장치가 건전한지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향후 원자로 헤드를 열고 제어봉 구동장치에 대한 육안점검도 추진 할 계획이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법성포청년회, ‘효도위안잔치’ 20회 맞아
- 2영광 불갑산 하이패스IC(서울) 개통
- 31호 청년명예 ‘부군수’는 누가?…영광군, 모집 ‘임박’
- 4영광군 백수읍 이장단-광산구 하남동 통장단과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업무 협약
- 5염산면, 복숭아 수확철 맞아 농가 일손돕기 나서
- 6염산면, ‘온기 나눔’과 함께 시원한 여름 선물 전달
- 7대마면 종돈개량사업소 임직원, 고향사랑기부금 270만 원 기탁
- 8[인터뷰] “군민과 함께 걷는 의회, 김강헌 의장의 의정 철학을 듣다”
- 9영광소방서, 제21대 대통령선거 대비 투표소 화재안전조사 실시
- 10영광군, 숙박업소 대표자 간담회 개최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