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사람이 없다”···불법체류 외국인에 의존하는 영광 ‘농촌’

기사입력 2025.06.16 13:27 | 조회수 3,964

SNS 공유하기

ka fa
  • ba
  • url
    -영광군 농가, 인력난 속 불법체류자 의존 실태 고착화
    -고창군, 지자체서 직접 외국인 근로자 배치…제도화 성공
    -“영광은 왜 못하나”…인력난 위기에 지자체 대응 시급
    KakaoTalk_20250612_160540884_01.jpg
    전남 영광군의 한 고추밭에서 농민들이 이른 아침부터 허리를 숙이고 작업에 한창이다. 농번기를 맞아 일손이 부족한 가운데, 인력난은 해마다 심화되고 있다. <사진=유창수 기자>

    영광군 농촌이 심각한 인력난에 빠졌다. 주력 작물인 대파와 고추 수확철이 시작됐지만,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해 불법 체류 외국인에 의존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법성면에서 고추 농사를 짓는 A씨(55)는 “일당을 더 준다 해도 오질 않는다. 결국 불법 체류 외국인이라도 쓸 수밖에 없다”며 “다른 대안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인력난은 지역 내 다른 산업에도 확산되고 있다. 영광읍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요즘 사람을 구하려 해도 오질 않는다”며 “장사보다 사람 구하는 게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노동력 부족은 전 산업에 걸쳐 고착화되는 양상이다. 인접한 고창군은 전혀 다른 행정 전략을 펼치고 있다. 고창군은 올해 외국인 계절 근로자 2,600명을 유치해 농가에 배치했으며, 이는 전국 최대 규모이자 지난해보다 800명 증가한 수치다. 고창군은 지자체가 직접 근로자를 선발하고, 합법 비자(E-8)로 입국시킨 뒤 기숙사 제공, 건강검진, 생활 관리까지 책임지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고창군 관계자는 “불법 체류자 없이도 농업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영광군은 이러한 인력난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태다. 군 농업유통과는 “상반기 결혼이민자 가족 299명을 초청해 199명이 입국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한시적 지원에 그칠 뿐이고, 하반기에는 추가 유치 계획조차 없는 상태다.

    한편, 기자가 만난 또 다른 지역민은 “스리랑카와 자매결연을 맺고, 군이 기숙사만 제공해 주면 안정적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하며, 국제 협력 모델을 통한 대안도 제시했다.

    지역 정가에서는 “농가와 근로자 모두가 보호받고 신뢰할 수 있는 제도가 절실하다”며 “더는 민간에만 맡겨둘 일이 아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영광군 역시 고창군처럼 외국인 근로자의 유치와 배치에 있어 지자체가 직접 나서는 관리 구조를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뉴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