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주택이나 아파트를 계약한 후 잔금을 치르고 매수자가 이사까지 하고 난 후 하자를 발견했습니다.
이럴 경우 하자는 누가 해결해 줘야 할까요? 참 난감한 경우입니다. 새집이 아닌 이상 하자는 분명 나오게 마련입니다. 문맥상 이럴 경우는 하자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경미한 하자이거나 중대한 하자이거나요.
먼저 경미한 경우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스위치가 고장 나거나 벽지가 찢어지거나 문이 잘 안 열리거나 가 경미한 하자이고요. 보일러가 고장 나거나 누수가 있거나가 중대한 하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계약서 작성 전에 발견하면 좋았겠지만 남에 집을 처음 본 상태에서 꼼꼼히 보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그렇다고 소송을 진행하기에도 애매합니다.
다음으로 민법을 참고해 보겠습니다. 민법상에는 집에 하자가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정도로 중대한 것이 아닌 때에는 매수인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 뿐이고 계약을 해제하지는 못합니다. (민법 제580조, 제575조 제1항)라고 나와있습니다. 참고하시구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먼저 집을 꼼꼼히 살펴보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집에 하자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경우는 아닙니다. 집에 하자를 발견하고 수리는 하지 못했어도 그만큼 집값을 싸게 샀다면 좋은 일이 되는 일이죠. 그다음에는 당시에 하자를 발견하지 못했어도 계약서상 특약사항에서 명시를 자세히 해주면 추후 하자 발생이 되었을 때 계약서상으로 처리하면 되므로 오히려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최대한 자세히 적으면 좋겠죠. 누수를 예를 들면 단순히 누수에서 더 나아가 천장에 누수, 바닥의 누수 또는 보일러의 누수라든가요.
부동산은 거래금액이 큰 만큼 신중해야 하며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제하게 되면 계약금의 배액을 배상해야 하기에 더욱더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상 건강 유의하시고 부자 되세요.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수해 복구 한창인데…진보당은 기자회견?
- 2공무원 사칭 ‘허위 공문서’ 주의 당부
- 3영광 명예군민 정청래, 민주당 당대표 경선 초반 '압승'
- 4의원 ‘재량사업비’ 정치공세…진보당, 자기부정 논란
- 5대한어머니회 영광군지회, 염산면 어르신에 이·미용·공연 봉사
- 62025년 영광군 청년의 날 행사 수행단체 모집공고
- 7영광읍 계송리 월곡마을의 자랑, 제이아이글로벌 정인철 대표
- 8안터상회×온숲카페, 못난이 농산물로 ‘가치 있는 나눔’ 실천
- 9영광축협, 나눔 축산과 함께 지역주민 삼계탕 정 나눔
- 10영광읍 신하4리 마을 이장 최석무, 나눔냉장고 100만 원 기탁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