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9 (수)

  • 구름많음속초6.9℃
  • 구름조금6.3℃
  • 맑음철원6.3℃
  • 맑음동두천8.6℃
  • 맑음파주7.4℃
  • 구름조금대관령-0.9℃
  • 맑음춘천6.9℃
  • 구름많음백령도7.6℃
  • 구름많음북강릉7.3℃
  • 구름많음강릉7.9℃
  • 구름조금동해6.9℃
  • 맑음서울10.4℃
  • 구름조금인천8.6℃
  • 맑음원주8.0℃
  • 맑음울릉도8.7℃
  • 구름조금수원7.4℃
  • 맑음영월6.5℃
  • 맑음충주7.3℃
  • 구름조금서산4.3℃
  • 구름조금울진7.6℃
  • 맑음청주10.8℃
  • 맑음대전8.5℃
  • 맑음추풍령5.0℃
  • 맑음안동7.9℃
  • 맑음상주8.4℃
  • 맑음포항9.9℃
  • 맑음군산5.9℃
  • 맑음대구10.2℃
  • 맑음전주7.9℃
  • 맑음울산9.1℃
  • 맑음창원10.1℃
  • 구름많음광주10.3℃
  • 맑음부산11.6℃
  • 맑음통영9.9℃
  • 구름많음목포7.7℃
  • 맑음여수11.6℃
  • 구름많음흑산도8.4℃
  • 구름많음완도10.5℃
  • 구름많음고창3.3℃
  • 구름조금순천4.7℃
  • 구름조금홍성(예)5.6℃
  • 구름조금5.3℃
  • 구름많음제주12.0℃
  • 구름많음고산12.5℃
  • 구름많음성산9.4℃
  • 구름조금서귀포13.5℃
  • 맑음진주7.0℃
  • 구름많음강화6.0℃
  • 맑음양평8.6℃
  • 맑음이천6.7℃
  • 구름조금인제5.9℃
  • 맑음홍천7.0℃
  • 맑음태백1.7℃
  • 맑음정선군4.2℃
  • 맑음제천4.6℃
  • 맑음보은5.1℃
  • 구름조금천안5.4℃
  • 맑음보령3.3℃
  • 맑음부여5.3℃
  • 맑음금산5.8℃
  • 구름조금8.0℃
  • 구름조금부안6.2℃
  • 맑음임실3.9℃
  • 구름조금정읍6.0℃
  • 맑음남원5.5℃
  • 맑음장수1.5℃
  • 구름많음고창군4.1℃
  • 구름많음영광군4.8℃
  • 맑음김해시11.3℃
  • 구름조금순창군4.9℃
  • 맑음북창원12.8℃
  • 맑음양산시12.4℃
  • 구름조금보성군8.5℃
  • 구름조금강진군6.7℃
  • 구름조금장흥3.8℃
  • 구름조금해남3.0℃
  • 구름조금고흥6.2℃
  • 맑음의령군8.3℃
  • 맑음함양군5.0℃
  • 맑음광양시10.9℃
  • 구름많음진도군4.4℃
  • 맑음봉화3.3℃
  • 맑음영주5.9℃
  • 맑음문경8.3℃
  • 맑음청송군4.1℃
  • 구름조금영덕5.9℃
  • 맑음의성5.8℃
  • 맑음구미8.3℃
  • 맑음영천6.8℃
  • 맑음경주시6.4℃
  • 맑음거창
  • 맑음합천8.7℃
  • 맑음밀양9.0℃
  • 맑음산청7.4℃
  • 맑음거제12.1℃
  • 맑음남해9.8℃
  • 맑음11.8℃
기상청 제공
"예산 편성에 군민도 참여해야 한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예산 편성에 군민도 참여해야 한다"

영광군이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을 보면 헛헛한 웃음이 절로 나온다.

올해 대비 9.18% 증가한 6,035억 원 규모라는데 편성 규모가 커진 것만 생각할 시점인지 올해를 마무리하는 겨울의 문턱에서 다시 한번 지나간 올해를 돌아보게 된다.

지자체의 예산 중 예비비는 쓰지 않고 ‘남은 예산’에 가깝다. 지방자치의 근간인 지방 자치법은 재정을 균형 있게 써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는데... 돈이 있는데 쓰지 않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지만 균형 있게 재정을 써야 한다는 원칙에는 꼭 ‘너무 낭비 하지 말라’는 의미만 있지 않다. ‘너무 남기지 말고’ 군민에게 거둬들인 세금을 적재적소에 쓸 수 있을 만큼 써야 한다는 뜻도 담겨 있지 않을 까?

필자는 연말이 되면 여기저기서 까 대는 멀쩡한 도로를 볼 땐 더더욱 그렇다. 지자체가 코로나19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는지 가늠하기 위해 주목할 항목은 일반회계 예비비다. 올해를 마감하는 시점에서 영광군의 예비비는 얼마가 쌓여있을까?

일반회계 예비비가 쌓였다면 지자체가 코로나19로 피해 입은 시민에게 예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다고 추론 할 수 있다. 군민 입장에서는 세금을 내고도 마땅히 받아야 할 행정서비스를 돌려받지 못한 셈이다.

중앙정부든 지자체든 예산 심의가 의회의 기본 기능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나랏빚 무서운 줄 모른 채 급팽창 시켜온 정부의 ‘초 슈퍼예산’ 논란에 가려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을 뿐 지방예산 급증세도 만만치 않은 것이 지방치고 600억 원도 아니고 6000억 원이 쓰였다는데,,,

필자가 올해 영광군에서 몸으로 체감할 수 있는 예산비가 얼마였을까?

서울시가 올해보다 9.8% 늘어난 44조748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로 짰고, 경기도도 16.3%나 증가한 33조5661억 원을 편성했다는데 제대로 된 견제 없이 팽창하는 지방예산은 다른 시·도나 기초 지자체도 별반 다르지 않을테다.

영광군에 편성된 6천억 원 중 내가 체감할 수 있는 금액은 어느 정도 일지...

필자는 잠시 자괴감이 든다.

지난 25일부터 12월17일(23 일간) 예정된 시점에서 내년 6월 전국 지방선거가 예정돼 있어 이를 의식한 선심성 퍼 주기 예산을 걸러내는 게 이번 정례회의 관건이 되지 않을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