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29 (화)

  • 맑음속초9.5℃
  • 맑음4.8℃
  • 맑음철원4.4℃
  • 맑음동두천6.2℃
  • 맑음파주4.6℃
  • 맑음대관령-0.9℃
  • 맑음춘천5.1℃
  • 맑음백령도10.4℃
  • 맑음북강릉8.8℃
  • 맑음강릉9.0℃
  • 맑음동해8.7℃
  • 맑음서울9.0℃
  • 맑음인천9.9℃
  • 맑음원주6.8℃
  • 맑음울릉도9.6℃
  • 맑음수원8.6℃
  • 맑음영월4.6℃
  • 맑음충주6.7℃
  • 맑음서산6.7℃
  • 맑음울진8.3℃
  • 맑음청주9.3℃
  • 맑음대전8.2℃
  • 맑음추풍령5.0℃
  • 맑음안동5.8℃
  • 맑음상주6.4℃
  • 맑음포항9.5℃
  • 맑음군산6.8℃
  • 맑음대구9.6℃
  • 맑음전주8.4℃
  • 맑음울산9.1℃
  • 맑음창원12.2℃
  • 맑음광주8.0℃
  • 맑음부산11.9℃
  • 맑음통영10.0℃
  • 맑음목포10.1℃
  • 맑음여수9.5℃
  • 맑음흑산도11.1℃
  • 맑음완도9.6℃
  • 맑음고창5.3℃
  • 맑음순천5.1℃
  • 맑음홍성(예)6.4℃
  • 맑음6.9℃
  • 맑음제주10.1℃
  • 맑음고산11.8℃
  • 맑음성산12.7℃
  • 맑음서귀포13.3℃
  • 맑음진주6.9℃
  • 맑음강화7.8℃
  • 맑음양평6.4℃
  • 맑음이천6.3℃
  • 맑음인제2.9℃
  • 맑음홍천4.5℃
  • 맑음태백2.7℃
  • 맑음정선군1.1℃
  • 맑음제천4.4℃
  • 맑음보은4.4℃
  • 맑음천안5.2℃
  • 맑음보령7.8℃
  • 맑음부여5.2℃
  • 맑음금산4.8℃
  • 맑음6.6℃
  • 맑음부안8.0℃
  • 맑음임실3.6℃
  • 맑음정읍6.6℃
  • 맑음남원4.7℃
  • 맑음장수2.3℃
  • 맑음고창군6.0℃
  • 맑음영광군6.2℃
  • 맑음김해시10.0℃
  • 맑음순창군4.8℃
  • 맑음북창원11.6℃
  • 맑음양산시10.6℃
  • 맑음보성군7.5℃
  • 맑음강진군7.2℃
  • 맑음장흥6.0℃
  • 맑음해남5.8℃
  • 맑음고흥6.7℃
  • 맑음의령군7.0℃
  • 맑음함양군4.2℃
  • 맑음광양시8.8℃
  • 맑음진도군7.8℃
  • 맑음봉화2.0℃
  • 맑음영주6.2℃
  • 맑음문경6.9℃
  • 맑음청송군5.5℃
  • 맑음영덕7.0℃
  • 맑음의성5.6℃
  • 맑음구미8.3℃
  • 맑음영천6.6℃
  • 맑음경주시7.2℃
  • 맑음거창5.7℃
  • 맑음합천6.6℃
  • 맑음밀양10.0℃
  • 맑음산청4.8℃
  • 맑음거제11.8℃
  • 맑음남해11.2℃
  • 맑음10.9℃
기상청 제공
장세일 표 ‘세일카드’ 효과… ‘영광형 기본소득’ 도입 탄력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세일 표 ‘세일카드’ 효과… ‘영광형 기본소득’ 도입 탄력

민생경제회복지원금,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기본소득 가능성↑
이재명 대표, “영광·신안 에너지산업 중심지역으로 발전시켜야”
영광군, 해상풍력 수익 활용한 지속가능한 기본소득 모델 검토

유튜브 썸네일 (1).jpg
▲ 지난해 10월, 군수 재선거를 앞두고 이재명 대표가 방문해 장세일 군수(당시 후보)와 영광농협에서 기본소득 등을 논의했다.

영광군(군수 장세일)이 설 명절을 앞두고 지급한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이하 민생지원금)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면서, 전 군민 지원금이 ‘세일카드’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성공적인 정책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영광군이 추진 중인 ‘영광형 기본소득’ 도입 논의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영광군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인당 100만 원(1차 50만 원)씩 지급한 민생지원금이 지역 내 소비를 증가시키며 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농·축·수산물 판매점(16.6%), 한식 음식점(12.3%), 정육점(8.7%) 등에서 소비가 집중되며,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광읍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지원금 덕분에 손님이 늘고 매출도 많이 올랐다”며 “지역 경제를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경제 상황이 어려운 만큼, 생빚을 내서라도 이런 지원금이 계속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군이 분석한 경제적 효과도 상당했다. 민생지원금이 약 652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일으키며, 188명의 신규 고용 창출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영광군의 민생지원금 정책이 기본소득 실험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지난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영광을 직접 언급하면서, 영광군의 경제정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 대표는 연설에서 “바람과 태양이 풍부한 신안과 영광 등 서남해안을 에너지 산업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광군이 추진하는 해상풍력·태양광 중심의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과 방향을 같이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실제 이 대표는 지난 10월 재선거 기간 동안 영광을 네 차례 방문하며 지역 경제 정책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재선거 이후에도 민주당 지도부는 영광군을 방문해 군 정책을 점검하며, 이를 기본소득 모델로 확장할 가능성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해상풍력 특별법’이 통과될 경우, 영광군이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경제 모델이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장세일 군수는 “재생에너지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군민들에게 직접 환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지원금을 넘어 영광형 기본소득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영광군은 해상풍력 사업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방안을 모색, 이를 군민들에게 직접 환원하는 기본소득 형태로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장세일표 ‘세일카드’의 성공적인 정착과 함께, ‘영광형 기본소득’이 새로운 지역경제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