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8 (화)

  • 맑음속초9.7℃
  • 맑음10.6℃
  • 맑음철원11.5℃
  • 맑음동두천12.8℃
  • 맑음파주10.0℃
  • 맑음대관령2.8℃
  • 맑음춘천12.1℃
  • 맑음백령도7.8℃
  • 맑음북강릉7.8℃
  • 맑음강릉10.9℃
  • 맑음동해9.3℃
  • 맑음서울13.4℃
  • 구름조금인천10.5℃
  • 맑음원주13.3℃
  • 맑음울릉도9.9℃
  • 맑음수원10.7℃
  • 맑음영월10.9℃
  • 맑음충주10.7℃
  • 맑음서산8.5℃
  • 맑음울진10.6℃
  • 맑음청주14.0℃
  • 맑음대전12.8℃
  • 맑음추풍령9.9℃
  • 맑음안동13.3℃
  • 맑음상주13.3℃
  • 맑음포항11.9℃
  • 맑음군산9.6℃
  • 맑음대구13.0℃
  • 맑음전주11.8℃
  • 맑음울산11.3℃
  • 맑음창원14.2℃
  • 구름조금광주12.4℃
  • 맑음부산13.7℃
  • 맑음통영13.5℃
  • 맑음목포9.8℃
  • 구름조금여수17.1℃
  • 구름조금흑산도7.6℃
  • 구름조금완도13.5℃
  • 맑음고창7.9℃
  • 맑음순천11.4℃
  • 맑음홍성(예)9.2℃
  • 맑음11.8℃
  • 구름많음제주13.8℃
  • 구름많음고산12.7℃
  • 구름많음성산12.5℃
  • 박무서귀포15.0℃
  • 맑음진주13.4℃
  • 구름조금강화14.0℃
  • 맑음양평13.8℃
  • 맑음이천12.5℃
  • 맑음인제10.4℃
  • 맑음홍천11.4℃
  • 맑음태백5.0℃
  • 맑음정선군9.2℃
  • 맑음제천8.9℃
  • 맑음보은10.8℃
  • 맑음천안11.4℃
  • 맑음보령6.4℃
  • 맑음부여9.7℃
  • 맑음금산12.7℃
  • 맑음12.0℃
  • 맑음부안8.8℃
  • 맑음임실9.9℃
  • 맑음정읍9.8℃
  • 맑음남원11.7℃
  • 맑음장수7.4℃
  • 맑음고창군9.1℃
  • 맑음영광군9.2℃
  • 맑음김해시14.4℃
  • 맑음순창군11.9℃
  • 맑음북창원16.4℃
  • 맑음양산시14.0℃
  • 구름조금보성군12.9℃
  • 구름조금강진군13.4℃
  • 맑음장흥12.8℃
  • 구름조금해남10.6℃
  • 구름조금고흥12.3℃
  • 맑음의령군14.6℃
  • 맑음함양군13.5℃
  • 맑음광양시15.2℃
  • 구름조금진도군10.0℃
  • 맑음봉화10.4℃
  • 맑음영주13.3℃
  • 맑음문경12.5℃
  • 맑음청송군8.5℃
  • 맑음영덕10.2℃
  • 맑음의성13.6℃
  • 맑음구미14.5℃
  • 맑음영천11.4℃
  • 맑음경주시10.5℃
  • 맑음거창
  • 맑음합천15.1℃
  • 맑음밀양15.1℃
  • 맑음산청14.4℃
  • 맑음거제13.3℃
  • 구름조금남해16.8℃
  • 맑음14.5℃
기상청 제공
[기고]겨울철 안전산행, 정규 등산로 이용하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겨울철 안전산행, 정규 등산로 이용하자

등산.png

겨울산은 다른 계절과 달리 위험요소가 많아 반드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안전한 겨울 산행을 위해서는 추위와 바람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하는 만큼 방수·방풍의와 보온의류, 방한모, 보온장갑 등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또 기온이 떨어지면 배터리 방전이 빠르므로 휴대전화나 헤드랜턴용 예비(보조) 배터리 등 여분을 준비해야 하고 빙판과 눈길에 대비해 아이젠, 스패츠 등과 등산 스틱도 챙겨야 한다. 저체온증 예방을 위해 산행 중에는 땀을 많이 흘리지 않도록 가벼운 옷차림을, 휴식 중에는 두꺼운 옷차림으로 체온을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겨울 산행 사고 발생에서 비 법정 등산로 산행(정규 등산로를 벗어나 입산통제구역으로 등산하는 행위) 중 발생한 사고는 요구조자의 위치 파악이 힘들고 현장 접근이 어렵고 안전시설 등이 없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지난 1월 6일 영광군 불갑산 칼바위에서 산행 중 발목을 접질려 거동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출동 당시 산행로가 눈길로 덮여있고 등산로가 가팔라서 소방항공대에 헬기요청을 하였다. 이 경우는 다행히 조난자가 발목골절 외 외상이 없었지만 외상이 심한 환자였다면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이고 휴대전화 불통지역이거나 악천후 상황이었다면 심리적 불안감과 저체온증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밖에도 수많은 크고 작은 사고들이 정규 등산로를 벗어난 곳에서의 불법 산행 중 발생한다. 인터넷에 잠깐만 검색해도 불법 산행 후기 등 비 법정 등산로 정보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산행이 결코 자랑이 아니며 본인의 생명을 담보로 한 목숨을 건 행위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모두가 경각심을 가지고 건전한 산행으로 본인의 안전과 생태계를 지키고 나아가 대한민국에 안전한 산행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