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30 (수)

  • 구름조금속초25.8℃
  • 구름많음26.5℃
  • 구름많음철원24.5℃
  • 구름많음동두천26.1℃
  • 구름많음파주25.0℃
  • 구름조금대관령20.6℃
  • 구름많음춘천26.3℃
  • 구름많음백령도22.7℃
  • 구름조금북강릉25.5℃
  • 구름조금강릉27.3℃
  • 맑음동해25.7℃
  • 구름많음서울30.0℃
  • 구름많음인천28.1℃
  • 구름조금원주28.7℃
  • 맑음울릉도26.2℃
  • 구름조금수원27.1℃
  • 맑음영월24.4℃
  • 구름조금충주26.7℃
  • 구름조금서산25.7℃
  • 맑음울진24.2℃
  • 맑음청주29.6℃
  • 구름조금대전28.5℃
  • 맑음추풍령23.7℃
  • 맑음안동24.1℃
  • 맑음상주25.7℃
  • 맑음포항26.7℃
  • 구름조금군산26.9℃
  • 맑음대구26.0℃
  • 맑음전주27.7℃
  • 맑음울산24.8℃
  • 구름조금창원25.1℃
  • 맑음광주26.9℃
  • 맑음부산27.2℃
  • 구름조금통영25.5℃
  • 구름조금목포26.4℃
  • 맑음여수27.1℃
  • 구름많음흑산도25.7℃
  • 맑음완도25.7℃
  • 맑음고창25.7℃
  • 맑음순천22.3℃
  • 구름조금홍성(예)26.9℃
  • 맑음25.6℃
  • 구름많음제주28.3℃
  • 흐림고산27.9℃
  • 구름조금성산28.3℃
  • 구름많음서귀포28.5℃
  • 구름조금진주21.3℃
  • 구름많음강화24.1℃
  • 구름많음양평26.8℃
  • 맑음이천27.1℃
  • 구름조금인제25.2℃
  • 구름많음홍천26.3℃
  • 구름조금태백19.6℃
  • 구름조금정선군23.9℃
  • 맑음제천24.2℃
  • 구름조금보은23.5℃
  • 구름조금천안24.5℃
  • 구름많음보령27.5℃
  • 구름많음부여26.9℃
  • 구름많음금산24.8℃
  • 구름조금26.4℃
  • 맑음부안26.6℃
  • 맑음임실23.2℃
  • 맑음정읍26.4℃
  • 맑음남원24.7℃
  • 맑음장수21.6℃
  • 구름조금고창군26.0℃
  • 맑음영광군25.7℃
  • 맑음김해시25.8℃
  • 맑음순창군24.9℃
  • 구름조금북창원26.2℃
  • 맑음양산시25.2℃
  • 맑음보성군24.3℃
  • 맑음강진군25.2℃
  • 맑음장흥23.6℃
  • 맑음해남25.0℃
  • 맑음고흥23.7℃
  • 구름조금의령군21.3℃
  • 구름조금함양군22.6℃
  • 맑음광양시25.9℃
  • 맑음진도군23.4℃
  • 맑음봉화20.3℃
  • 맑음영주22.9℃
  • 맑음문경24.6℃
  • 맑음청송군21.2℃
  • 맑음영덕22.7℃
  • 맑음의성22.6℃
  • 맑음구미26.3℃
  • 맑음영천23.7℃
  • 맑음경주시22.9℃
  • 구름조금거창22.9℃
  • 구름조금합천23.5℃
  • 맑음밀양24.9℃
  • 구름조금산청23.4℃
  • 구름많음거제26.4℃
  • 맑음남해24.8℃
  • 맑음25.3℃
기상청 제공
어바웃 아젠다 no.5 여전히 열악한 환경의 문화 · 예술인들, 영광군이 함께 지키고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바웃 아젠다 no.5 여전히 열악한 환경의 문화 · 예술인들, 영광군이 함께 지키고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제목을 입력하세요.png

왼쪽부터 한수산 선생, 공옥진 여서, 최윤자 선생

흔히들 ‘인간문화재’로 불리는 무형문화재를 비롯한 영광 예술인들의 기·예능의 맥이 끊길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기능 보유자의 타계와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대를 잇겠다는 전승 교육사가 없기 때문이지요. 우리 군은 판소리 1인 창무극 심청가 예능 보유자인 공옥진 여사에 이어 전통 혼례음식 예능 보유자로 지정된 최윤자 선생님을 비롯하여 전국 고수대회 최연소 수상자인 한수산 선생을 포함한 많은 문화, 예술인들이 있습니다.

2015년 연극배우 김운하 씨가 비좁은 고시원에서 숨진 후 ‘예술인 복지법’이 생겨났지만, 무형문화재 등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은 여전히 배고픈 현실이라 안타깝습니다. 실적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예술인 활동으로 증명이 어려운 예술인들은 실질적으로 정부의 지원도 불가피해 현실적으로 작품 활동을 활발히 못 하는 취약한 분야인 것도 문제이지요.

특히 영광군에는 문화·예술인들이 다양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전수 교육관조차 없는 실정이니 문화 예술이 얼마나 발달을 할 수 있을까요?

작은 소도시 영광군에는 무형문화재가 속속들이 탄생해 왔습니다. 하지만 젊은 전승자와 이수자가 유입되어 기능과 예능을 전수받지 않으면 무형문화재의 맥이 끊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영광군이 처한 문화재의 현실이지요.

영광군의 자랑인 국가 무형문화재 중 ‘공옥진 여사의 창무극’은 명맥조차 끊겨버렸으니 말입니다. 2012년 기능 보유자 공옥진 여사가 세상을 떠났고 전수자를 남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답니다. 공 여사에 대한 무형문화재 지정이 늦어진 바람에 전수자 양성도 못한 채 세상을 떠나버렸으니 너무나 비통합니다.

공옥진 여사는 ‘병신춤’으로 서민들의 애환과 함께 했다고 하나 정부 기관에서는 그의 춤이 병신을 흉내 내는 병신춤이라며 비하하고 외면했으니 문화인의 소양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으니 혀를 내 두르게 하는 안타까움이 따를 뿐. 고향인 우리 영광군에서 조그만 방에서 투병과 생활고로 거의 몸은 운신도 못하는 때에서야  무형문화재로의 지정된 것, 그마저도 전수자 없이 타계하여 무형문화재 지정 취소가 됨에 따라 공옥진 여사의 1인 창무극 활동 흔적을 느낄 수 있는 곳은 예술 연수소(영광읍 교촌리)가 유일하다 하니 우리 군의 문화 수준 또한 짐작할만하겠지요.

그뿐인가요. 영광군의 전통 혼례 음식 명인으로 2017년 무형문화재 지정을 받은 최윤자 선생님은 여전히 조리할 수 있는 전수관조차 없어 전수자들을 양성하지 못함도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문화재로서의 기능을 널리 전수하고자 영광군에 몇 회에 걸쳐 호소를 요청했지만 더 큰 명분을 가져오라며 예술인으로서의 기능을 존중받지 못하셨다니 말입니다. 무형문화재들의 기·예능은 하루아침에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돈을 주고 살 수도 없지요.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없으면 무형문화재는 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겠지요.

현재 타 시도는 자체적으로 문화인에 대한 육성을 아낌없이 한다는데, 영광군은 무형문화재원을 갖고 있는 영화로움을 누리고 있음에도 무형문화재를 방치하고 내버려 두니 혀를 내 두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요.

무형문화재 기능과 예능을 익히려는 전수자에 대한 지원이 없는 것도 문제이지만, 맥을 잇기 위해선 전승 교육사도 전수 교육관 절실해 보입니다. 문화유산의 보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으니 말입니다.

전수 교육관을 만들고, 기능과 예능을 계승할 인재를 길러내는데 전폭적인 군의 지원이 앞으로 영광군의 격을 높이는 문화 품격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입니다. 소중한 문화유산을 갖고 있는 우리 영광군의 문화를 우리 영광군이 함께 지켜낼 때입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