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8 (화)

  • 맑음속초13.3℃
  • 구름조금18.4℃
  • 맑음철원17.4℃
  • 맑음동두천19.1℃
  • 맑음파주17.4℃
  • 구름많음대관령13.5℃
  • 맑음춘천18.9℃
  • 맑음백령도11.3℃
  • 구름조금북강릉15.4℃
  • 구름조금강릉15.5℃
  • 구름많음동해13.6℃
  • 맑음서울17.3℃
  • 맑음인천13.3℃
  • 맑음원주18.7℃
  • 맑음울릉도13.4℃
  • 맑음수원16.5℃
  • 맑음영월17.8℃
  • 맑음충주18.8℃
  • 맑음서산17.0℃
  • 맑음울진15.4℃
  • 맑음청주18.4℃
  • 맑음대전21.2℃
  • 맑음추풍령19.1℃
  • 맑음안동20.8℃
  • 맑음상주21.4℃
  • 맑음포항24.1℃
  • 맑음군산13.8℃
  • 맑음대구23.3℃
  • 맑음전주19.2℃
  • 맑음울산24.6℃
  • 맑음창원24.1℃
  • 맑음광주21.5℃
  • 맑음부산19.2℃
  • 맑음통영18.9℃
  • 맑음목포16.9℃
  • 맑음여수19.4℃
  • 연무흑산도14.8℃
  • 맑음완도20.3℃
  • 맑음고창17.8℃
  • 맑음순천21.3℃
  • 맑음홍성(예)19.0℃
  • 맑음19.4℃
  • 맑음제주21.4℃
  • 맑음고산17.4℃
  • 맑음성산23.3℃
  • 맑음서귀포19.8℃
  • 맑음진주25.3℃
  • 맑음강화14.1℃
  • 맑음양평18.4℃
  • 맑음이천18.8℃
  • 구름조금인제16.8℃
  • 맑음홍천18.5℃
  • 맑음태백17.6℃
  • 구름조금정선군18.0℃
  • 맑음제천17.2℃
  • 맑음보은19.0℃
  • 맑음천안17.7℃
  • 맑음보령18.1℃
  • 맑음부여20.6℃
  • 맑음금산20.1℃
  • 맑음19.3℃
  • 맑음부안15.0℃
  • 맑음임실19.1℃
  • 맑음정읍19.5℃
  • 맑음남원21.6℃
  • 맑음장수19.0℃
  • 맑음고창군20.6℃
  • 맑음영광군17.3℃
  • 맑음김해시25.7℃
  • 맑음순창군20.9℃
  • 맑음북창원26.2℃
  • 맑음양산시26.3℃
  • 맑음보성군23.7℃
  • 맑음강진군21.8℃
  • 맑음장흥22.6℃
  • 맑음해남20.7℃
  • 맑음고흥22.7℃
  • 맑음의령군25.9℃
  • 맑음함양군22.3℃
  • 맑음광양시25.6℃
  • 맑음진도군17.5℃
  • 맑음봉화18.6℃
  • 맑음영주18.1℃
  • 맑음문경19.6℃
  • 맑음청송군21.4℃
  • 맑음영덕17.2℃
  • 맑음의성22.3℃
  • 맑음구미23.9℃
  • 맑음영천23.5℃
  • 맑음경주시24.8℃
  • 맑음거창21.8℃
  • 맑음합천25.0℃
  • 맑음밀양25.9℃
  • 맑음산청23.5℃
  • 맑음거제18.8℃
  • 맑음남해22.6℃
  • 맑음22.0℃
기상청 제공
[어바웃 아젠다 NO. 21] 청년세대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연결고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바웃 아젠다 NO. 21] 청년세대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연결고리'

노령화와 인구 유출이 지속되면서 지역 소멸이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당장 코앞에 닥친 문제라는 인식이 우리 군에도 스며들고 있다.

이에 영광군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원 대책이 마련되려는 움직임이 눈길을 끌고 있다. 기초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제적 지원과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는 인식 출발점은 지역의 생존이라는 현실과제에서도 비롯된다.

우리 영광군 자체가 소멸할 위기에 내몰리는 상황에서 미래를 책임질 청년세대의 자존감과 정체성 형성에 조금이라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건 분명히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그마한 지원 혜택이라도 누릴 수 있는 청년층이 자신들이 사는 지역과 향토에 대해 한 번쯤이라도 되돌아볼 기회를 가진다는 사실은 물질적 가치로만 평가해선 곤란할 만큼 다른 의미가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나이가 많은 기성세대는 자기가 태어난 땅을 바라본다는 수구지심의 심정을 당연히 느낀다고 주장할 수는 있다. 허나 지역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정서적 연대성의 원형을 구시대적인 말이나 글로 표현해서는 더는 동의나 이해를 구하기가 어렵지 않을까?

젊은 세대에게는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구체적 내용이 있어야 한다는 점... 바로 이런 노력이 있어야 전 세대가 아우를 수 있는 정서적 공동체 의식도 가능할 수 있다는 말이다. 

쉽게 말해, 고향을 사랑하라는 말이 강요가 아니라고 한다면 타인에게 내세울 수 있는 자랑거리로 뭔가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청년세대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노력과 실천이 있을 때 지역과 연결고리를 만들 기회가 생긴다는 점이 되겠지...

현재 기초지자체들이 청년층의 존재 자체에 주목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책을 고민하고 있는 모양새는 긍정적으로 봐주길... 

청년수당으로 격하하면서 대수롭지 않은 정책으로 치부해선 곤란할 듯... 미래가 불분명한 현실에서 청년층이 지역 공동체로부터 보살핌과 도움을 받았다는 경험은 새로운 뭔가로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뭔가가 탄생할 수도 있다. 

지역사회와 연결 고리를 만들려는 눈물겨운 노력을 이젠 인정해 줄 때가 아닐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