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8 (화)

  • 구름많음속초14.3℃
  • 맑음17.2℃
  • 맑음철원16.1℃
  • 맑음동두천17.5℃
  • 맑음파주16.4℃
  • 구름조금대관령13.2℃
  • 맑음춘천17.5℃
  • 맑음백령도10.9℃
  • 구름조금북강릉19.6℃
  • 구름조금강릉19.1℃
  • 맑음동해16.5℃
  • 맑음서울15.9℃
  • 박무인천10.5℃
  • 구름조금원주17.0℃
  • 구름조금울릉도15.7℃
  • 맑음수원15.6℃
  • 맑음영월16.3℃
  • 맑음충주17.8℃
  • 맑음서산16.9℃
  • 맑음울진17.8℃
  • 맑음청주18.5℃
  • 구름조금대전18.9℃
  • 맑음추풍령17.8℃
  • 맑음안동20.0℃
  • 맑음상주20.0℃
  • 맑음포항23.1℃
  • 맑음군산13.1℃
  • 맑음대구22.6℃
  • 맑음전주18.7℃
  • 맑음울산23.1℃
  • 맑음창원23.3℃
  • 맑음광주20.4℃
  • 맑음부산20.2℃
  • 맑음통영17.9℃
  • 맑음목포16.0℃
  • 맑음여수20.1℃
  • 맑음흑산도15.9℃
  • 맑음완도19.0℃
  • 맑음고창18.1℃
  • 맑음순천19.8℃
  • 맑음홍성(예)17.6℃
  • 맑음18.8℃
  • 맑음제주22.6℃
  • 맑음고산16.4℃
  • 맑음성산20.4℃
  • 맑음서귀포20.3℃
  • 맑음진주22.9℃
  • 맑음강화13.8℃
  • 맑음양평16.8℃
  • 맑음이천18.4℃
  • 맑음인제16.1℃
  • 맑음홍천17.2℃
  • 맑음태백15.9℃
  • 맑음정선군17.1℃
  • 맑음제천16.3℃
  • 맑음보은17.7℃
  • 맑음천안16.7℃
  • 맑음보령17.1℃
  • 맑음부여19.7℃
  • 맑음금산18.5℃
  • 맑음18.2℃
  • 맑음부안16.4℃
  • 맑음임실18.8℃
  • 맑음정읍19.3℃
  • 맑음남원20.0℃
  • 맑음장수18.2℃
  • 맑음고창군19.5℃
  • 맑음영광군17.3℃
  • 맑음김해시22.9℃
  • 맑음순창군18.8℃
  • 맑음북창원23.6℃
  • 맑음양산시23.5℃
  • 맑음보성군21.8℃
  • 맑음강진군19.6℃
  • 맑음장흥20.0℃
  • 맑음해남18.6℃
  • 맑음고흥19.1℃
  • 맑음의령군24.6℃
  • 맑음함양군20.3℃
  • 맑음광양시22.7℃
  • 맑음진도군16.7℃
  • 맑음봉화17.6℃
  • 맑음영주17.3℃
  • 맑음문경18.6℃
  • 맑음청송군19.7℃
  • 맑음영덕21.2℃
  • 맑음의성20.1℃
  • 맑음구미22.2℃
  • 맑음영천22.8℃
  • 맑음경주시23.6℃
  • 맑음거창22.2℃
  • 맑음합천23.6℃
  • 맑음밀양22.9℃
  • 맑음산청21.8℃
  • 맑음거제19.7℃
  • 맑음남해21.3℃
  • 맑음22.2℃
기상청 제공
'플라스틱프리(Plastic-Free) 캠페인'어떠세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라스틱프리(Plastic-Free) 캠페인'어떠세요?

플라스틱프리캠페인
1. 일주일동안 텀블러 이용해보기
2. 일주일동안 장바구니 이용하기
3. 일주일동안 분리수거 철저히 해보기

신7.PNG

폐비닐과 폐플라트틱으로 인해 온 사회가 골치를 앓고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중국의 폐비닐 쓰레기 수입 금지로 인해 시작된 일 같지만, 근본적 이유는 다른 데있습니다. 플라스틱 그 자체가 문제입니다. 플라스틱은 원유를 정제한 후 찌꺼기로 만든 제품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일상에서 사용하는것 대부분이 플라스틱입니다.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생산된 플라스틱이 약 83억 톤에 이릅니다. 이 가운데 재활용되거나 소각된 것은 20% 뿐이고, 나머지는 지금도 지구 어딘가에서 떠돌고 있습니다. 폐플라스틱을 수출하는 것은 처리한 것이라 기보다 지구적 측면에서 보면 단지 장소를 이동시켜 계속 쌓고 있는 것이라 할 수있습니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시도되고 있습 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1회 용품 사용 규제를 완화하는등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고 대책도 없습니다.

img-business06.gif

이번 영광군의 일회용 플라 스틱컵 규제도 이를 바탕으로 시행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 사람이 한해 동안 쓰는 플라스틱이 98.2kg(일본 66.9kg, 영국 56.3kg)나 됩니다. 세계 1위 입니다. 지난 6년 동안 1.5배나 늘었다고 합니다. 비닐봉지 사용량만 보면 세계 2위 인데, 420개를 씁니다(2017 년 기준). 독일 70개, 아일랜드 20개, 핀란드 4개 등 유럽연합(EU)의 사용량을 크게 웃도는 수치입니다. 독일의 6배, 핀란드의 105배입 니다. 덴마크는 1994년부터 ‘포장세’를 도입해, 일회용 포장재의 사용을 줄여 연간 1인당 비닐봉지 사용량이 4개입니다. 싱가포르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약(SPA) 을 통해 포장폐기물을 줄여 왔고 10년 만에 3만 9000t 정도를 줄였습니다. 케냐는 지난해 8월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시켜 쓰다가 적발되면 제조, 수입, 판매, 사용자 모두 최대 4000만원의 벌금 이나 4년의 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사실 폐비닐, 폐플라스틱은 지금 잠시 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최근 영광군은 착한가게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탄소량을 줄이기 위해 자전거 문화 활성화를 위한 조례안도 제정 되었습니다.

비닐봉지, 일회용 컵, 수저, 용기 등 온통 플라스틱인 사회에서 플라스틱 없이 살아 간다는 건 어려운 일임에 분명합니다. 하지만 일상용품중 하나씩 정해 바꾸어간다면 더딜지언정 함께 변화할 수 있습니다. 마음먹고 연습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됩니다. “비닐은 괜찮습니다”, “가방에 담아 갈게요” 하는 말을 시작해봅시다. 장바구니나 머그컵(텀블러)이 친구가 되어 줄 것입니다. 단 몇분 사용되고 버려져, 흙으로 돌아가는데 400년이 걸리는 것이 비닐봉지입니다. 바다로 버려지는 것도 많은데 그것이 해양생물의 생육하고 번성하는 것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구온도 상승에도 영향을 미치는 데, 우리나라에서 쓰는 일회용 비닐봉지만으로도 연간 이산화탄소 2천3백만 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프리 캠페인’ 어바웃영광과 함께 참여해주실 업체와 개인을 모집 합니다.

참여신청☞ https://goo.gl/N2XCvd

14.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