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5.13 (화)

  • 맑음속초20.6℃
  • 구름조금10.2℃
  • 구름조금철원10.3℃
  • 구름조금동두천11.9℃
  • 구름많음파주10.5℃
  • 맑음대관령8.2℃
  • 구름조금춘천10.6℃
  • 맑음백령도11.7℃
  • 맑음북강릉18.8℃
  • 맑음강릉21.6℃
  • 맑음동해17.2℃
  • 구름조금서울15.1℃
  • 구름조금인천17.2℃
  • 맑음원주11.6℃
  • 맑음울릉도18.7℃
  • 구름많음수원12.5℃
  • 맑음영월8.8℃
  • 맑음충주11.0℃
  • 구름조금서산12.5℃
  • 맑음울진17.3℃
  • 구름조금청주15.8℃
  • 맑음대전14.2℃
  • 맑음추풍령9.0℃
  • 맑음안동11.4℃
  • 맑음상주11.3℃
  • 맑음포항17.6℃
  • 맑음군산15.9℃
  • 맑음대구13.9℃
  • 맑음전주16.6℃
  • 맑음울산14.9℃
  • 맑음창원13.5℃
  • 맑음광주15.2℃
  • 맑음부산15.7℃
  • 맑음통영13.7℃
  • 맑음목포15.7℃
  • 맑음여수14.7℃
  • 안개흑산도13.3℃
  • 맑음완도11.9℃
  • 맑음고창16.5℃
  • 맑음순천8.4℃
  • 구름조금홍성(예)12.8℃
  • 구름조금11.5℃
  • 맑음제주16.1℃
  • 맑음고산15.3℃
  • 구름많음성산15.7℃
  • 구름많음서귀포16.3℃
  • 맑음진주10.1℃
  • 구름많음강화14.2℃
  • 구름조금양평11.8℃
  • 맑음이천11.6℃
  • 맑음인제9.0℃
  • 구름조금홍천10.6℃
  • 맑음태백12.2℃
  • 맑음정선군7.8℃
  • 맑음제천8.4℃
  • 맑음보은9.7℃
  • 구름많음천안10.5℃
  • 구름조금보령16.2℃
  • 구름조금부여11.5℃
  • 맑음금산10.7℃
  • 맑음13.1℃
  • 맑음부안16.2℃
  • 맑음임실10.3℃
  • 맑음정읍16.6℃
  • 맑음남원11.3℃
  • 맑음장수8.8℃
  • 맑음고창군13.4℃
  • 맑음영광군15.1℃
  • 맑음김해시14.0℃
  • 맑음순창군10.9℃
  • 맑음북창원14.8℃
  • 맑음양산시12.2℃
  • 맑음보성군10.6℃
  • 맑음강진군11.9℃
  • 맑음장흥10.3℃
  • 맑음해남11.1℃
  • 맑음고흥10.7℃
  • 맑음의령군
  • 맑음함양군9.0℃
  • 맑음광양시13.8℃
  • 맑음진도군13.0℃
  • 맑음봉화7.5℃
  • 맑음영주9.7℃
  • 맑음문경10.5℃
  • 맑음청송군8.5℃
  • 맑음영덕15.1℃
  • 맑음의성9.1℃
  • 맑음구미11.2℃
  • 맑음영천10.3℃
  • 맑음경주시13.3℃
  • 맑음거창9.3℃
  • 맑음합천12.0℃
  • 맑음밀양11.4℃
  • 맑음산청10.1℃
  • 맑음거제16.9℃
  • 맑음남해13.1℃
  • 맑음12.0℃
기상청 제공
"품위는 스스로 지켜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품위는 스스로 지켜야..."

IE002390519_STD.jpg

사람마다 담는 그릇이 다르다. 저마다 각자의 그릇이 있다. 여기서 ‘그릇’이라는 말이 곧이곧대로 물건이나 음식을 담는 것 이상의 의미를 말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사람의 도량이나 능력을 말하기도 한다. 그렇게 우리는 누구나 각자의 그릇이 있다. 그것의 크기를 논하기에는 필자의 그릇은 뭐 암묵하겠다.

저마다 지문이 다르듯, 저마다 사람들은 각자의 그릇이 다르다. 모양새는 물론이고 성격과 살아가는 방식, 고집 그리고 아집, 깜냥은 절대로 같을 수가 없단 말이다. 그러니 그 그릇의 크기 또한 같을 수가 있을까? 필자의 그릇은 절대적으로 도량할 수 없지만 내 것의 크기를 다른 이들과 이야기를 할 때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그릇이 큰 사람과의 대화는 즐겁다. 필자가 지난주 만났던 사람들과의 대화가 그러했으니,

나 자신이 초라해지기도 하고 설레기를 반복하다 긍정적인 자극을 받기도 하니 말이다.

지난주 어처구니없는 뉴스를 전해 들었다. 나이 어린 도의원이 13살이나 많은 군의원을 상대로 쌍욕과 막말을 해 댔다는 뉴스를 전해 듣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복지 시설 지부장이 복지 시설 사무국장과 막말 다툼으로 언성 높이며 폭력을 행사했다고 하는 것도 어이없는데 보복폭행까지 했다니... 완전난장판이 아닐 수 없다. 공직자의 신분으로 타의 모범이 되어야 하는 단체장들의 행동은 이해하고 싶지도 않다.

말투는 내용을 담는 그릇이다. 같은 말도 듣기 싫게 하는 사람이 있거니와 어투가 퉁명스럽거나 거친 용어를 사용하여 목소리가 유난히 공격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있다. 폭언이나 막말 발언으로 상대방에게 하는 거친 말투는 의도와 다르게 타인을 겁주려는 메시지로 변할 수도 있는데 아는지 모르는지... 말이란 내용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격을 담고 있다는 말이다.

식품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시간이 지날수록 썩고 부패하는 식품이 있고 다른 하나는 시간이 경과 하면 할수록 숙성되면서 발효가 이루어지는 식품이 있다. 처음엔 그럴듯한 맛이 많이 나지만 쉽게 부패해버리는 식품들이 있고, 처음엔 별로 맛이 없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깊은 맛을 내는 식품들이 있다.

식품만 그런 것일까? 사람들이 하는 말에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금방 부패해버리는 정치인들의 말들이 있는가 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발효되면서 좋은 향기를 발하는 말들도 있다. (뭐, 그렇다고 해서 정치인들의 말이 다 부패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차마 입에 담기조차 부끄러운 말들을 거리낌 없이 쏟아내며 나오는 말마다 천박하고 추레하여 불량 식품 같기도 하고 말하는 입조차 구질구질 더러워 보이는 말을 뱉을 것이 아니고 들을수록 좋은 향기가 나는 말들을 하는 공직자가 많은 영광군이길... 그래서 처음에는 쓰고 듣기 싫을지라도 곱씹을수록 깊은 맛이 느껴지는 말들을 할 수 있는 공직자 많은 영광군이길... 시간이 지날수록 발효가 잘되어 그윽한 향기를 풍길 수 있기를...

입에서 나온다고 해서 다 말이 되는가? 말에는 그 사람의 인격이 함께 담겨 있는 것이다. 말의 격을 높이던가 말투에 맞춰 본인 격을 내리던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