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28 (월)

  • 맑음속초27.4℃
  • 맑음24.5℃
  • 맑음철원24.0℃
  • 맑음동두천25.3℃
  • 맑음파주25.7℃
  • 맑음대관령19.5℃
  • 맑음춘천24.4℃
  • 맑음백령도23.7℃
  • 맑음북강릉27.3℃
  • 맑음강릉30.4℃
  • 맑음동해27.5℃
  • 맑음서울29.4℃
  • 박무인천27.5℃
  • 맑음원주25.8℃
  • 맑음울릉도27.3℃
  • 박무수원26.1℃
  • 맑음영월22.8℃
  • 맑음충주24.6℃
  • 구름조금서산25.6℃
  • 맑음울진27.8℃
  • 맑음청주29.2℃
  • 맑음대전27.7℃
  • 맑음추풍령22.1℃
  • 맑음안동25.2℃
  • 맑음상주24.2℃
  • 맑음포항26.6℃
  • 구름조금군산25.8℃
  • 맑음대구24.4℃
  • 맑음전주27.3℃
  • 맑음울산24.2℃
  • 맑음창원25.6℃
  • 맑음광주26.6℃
  • 맑음부산27.2℃
  • 맑음통영26.2℃
  • 맑음목포27.0℃
  • 맑음여수26.9℃
  • 맑음흑산도26.4℃
  • 맑음완도25.2℃
  • 맑음고창25.2℃
  • 맑음순천21.8℃
  • 맑음홍성(예)26.1℃
  • 맑음25.0℃
  • 맑음제주26.8℃
  • 구름조금고산27.4℃
  • 맑음성산27.4℃
  • 구름조금서귀포28.2℃
  • 구름조금진주22.2℃
  • 맑음강화24.7℃
  • 맑음양평25.3℃
  • 맑음이천25.4℃
  • 맑음인제22.3℃
  • 맑음홍천24.5℃
  • 맑음태백20.8℃
  • 맑음정선군21.2℃
  • 맑음제천22.5℃
  • 맑음보은23.5℃
  • 맑음천안24.8℃
  • 구름조금보령26.4℃
  • 맑음부여25.8℃
  • 맑음금산24.4℃
  • 맑음26.3℃
  • 맑음부안25.7℃
  • 맑음임실23.4℃
  • 구름조금정읍26.0℃
  • 맑음남원24.6℃
  • 맑음장수21.6℃
  • 구름조금고창군25.2℃
  • 맑음영광군25.0℃
  • 맑음김해시26.0℃
  • 맑음순창군24.8℃
  • 맑음북창원26.0℃
  • 맑음양산시24.7℃
  • 맑음보성군24.5℃
  • 맑음강진군25.1℃
  • 맑음장흥24.0℃
  • 맑음해남25.4℃
  • 맑음고흥24.2℃
  • 맑음의령군21.8℃
  • 구름조금함양군22.9℃
  • 맑음광양시26.1℃
  • 맑음진도군24.5℃
  • 맑음봉화22.0℃
  • 맑음영주23.1℃
  • 맑음문경23.5℃
  • 맑음청송군21.2℃
  • 맑음영덕23.4℃
  • 맑음의성22.6℃
  • 맑음구미24.2℃
  • 맑음영천22.2℃
  • 맑음경주시22.5℃
  • 맑음거창22.2℃
  • 맑음합천23.1℃
  • 맑음밀양24.4℃
  • 구름조금산청23.1℃
  • 맑음거제24.5℃
  • 맑음남해25.2℃
  • 맑음25.3℃
기상청 제공
지금 할 수 있는 만큼이라도 해야 진전이 있습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금 할 수 있는 만큼이라도 해야 진전이 있습니다.

29271_57706_3646.jpg

신문사에서 편집기자를 흔히 '첫 번째 독자'라고 일컫지요. 취재기자들이 기사를 마감하면 데스킹 과정을 거쳐 편집기자가 다시 읽으니 말입니다. 편집기자 역할은 종이신문을 읽는 독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겠지요.

독자들은 보통 사진이나 제목을 보고 무슨 뉴스인지 판단하고 기사를 읽기 시작하는데 편집기자들은 첫 번째 독자가 돼 한정된 지면에 어떻게 사진을 배치하고, 제목을 뽑아 읽고 싶은 기사를 만들지 고민합니다. 그러니 '독자의 시선'에서 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종이신문 독자가 크게 줄었지만, 신문사 온라인 기사에서도 클릭 수를 이끌어낼 제목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어바웃영광은 때로는 상업광고 카피라이터처럼 강렬하게, 때로는 공익광고같이 바람직하게, 때로는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감성을 표현합니다. 

사안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자세는 취재기자만큼이나 편집기자에게도 요구된다. 드라마 <미생>에서 인턴 '장그래'는 슬리퍼를 사무 현장의 전투화에 빗댔습니다. 취재기자가 사건·사고 현장을 발로 뛴다면 편집기자는 편집국 사무실이 치열한 취재 보도 현장인 셈입니다.

편집위원으로서 제목을 뽑을 때 특히 신경 쓰는 점이 있습니다. '~해야'라는 표현을 자제하는 것입니다. '계도지' 같은 불편함이 있다고 할까요?

독재정권 시절, 정부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고자 통장·이장·반장 등에게 신문을 나눠주던 일명 계도지는 지금도 주민홍보지 등 이름으로 남아있으니 말입니다.

'~해야'라는 제목은 사설이나 칼럼처럼 의견·주장을 전달할 때 주로 쓰입니다. 

정부가 국민을 가르치려 드는 계도지와 달리 민주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 등이 기자회견이나 성명을 통해 정부에 요구하는 목소리를 담을 때 더 자주 쓰인다는 건 긍정적인 변화겠지요. 물론 권언유착으로 여전히 계도지 성격을 버리지 못하는 언론이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해야 할 일은 언제나 쌓여있습니다.

지금 할 수 있는 만큼이라도 해야 진전이 있습니다.

농민 울리는 쌀값 폭락 대책 마련, 능동적이고 적극적 정책홍보로의 영광, 체류형 관광으로의 영광, 매력적인 지자체로의 발돋움, 군민 편리 위한 행정 시스템 구축등 어느 하나 서두르지 않아도 될 일은 없으니 말입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