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28 (월)

  • 맑음속초30.0℃
  • 구름조금35.8℃
  • 맑음철원33.6℃
  • 맑음동두천34.4℃
  • 맑음파주33.7℃
  • 맑음대관령30.0℃
  • 구름조금춘천36.2℃
  • 맑음백령도28.2℃
  • 구름조금북강릉33.8℃
  • 구름조금강릉36.0℃
  • 구름조금동해32.2℃
  • 구름조금서울36.3℃
  • 맑음인천33.0℃
  • 구름조금원주35.8℃
  • 맑음울릉도31.2℃
  • 맑음수원34.1℃
  • 맑음영월36.4℃
  • 맑음충주34.8℃
  • 맑음서산33.3℃
  • 맑음울진27.4℃
  • 구름조금청주36.2℃
  • 구름조금대전34.9℃
  • 구름조금추풍령33.7℃
  • 맑음안동35.5℃
  • 구름조금상주35.7℃
  • 맑음포항33.8℃
  • 맑음군산31.5℃
  • 구름조금대구35.4℃
  • 맑음전주34.5℃
  • 맑음울산31.6℃
  • 맑음창원31.7℃
  • 구름조금광주34.8℃
  • 맑음부산32.1℃
  • 맑음통영33.7℃
  • 맑음목포32.4℃
  • 맑음여수32.3℃
  • 맑음흑산도31.8℃
  • 맑음완도35.3℃
  • 맑음고창32.6℃
  • 구름조금순천32.8℃
  • 구름많음홍성(예)34.9℃
  • 구름조금35.0℃
  • 맑음제주32.2℃
  • 맑음고산30.4℃
  • 맑음성산31.3℃
  • 맑음서귀포32.8℃
  • 맑음진주33.7℃
  • 맑음강화32.0℃
  • 구름조금양평35.2℃
  • 구름조금이천34.6℃
  • 맑음인제
  • 맑음홍천35.5℃
  • 흐림태백31.2℃
  • 맑음정선군37.7℃
  • 구름조금제천34.1℃
  • 맑음보은34.5℃
  • 맑음천안34.5℃
  • 맑음보령34.0℃
  • 구름조금부여34.3℃
  • 맑음금산35.0℃
  • 구름조금33.4℃
  • 구름조금부안31.5℃
  • 구름조금임실33.8℃
  • 구름조금정읍34.4℃
  • 맑음남원35.3℃
  • 구름많음장수32.9℃
  • 구름조금고창군34.5℃
  • 맑음영광군32.6℃
  • 맑음김해시33.4℃
  • 구름조금순창군35.9℃
  • 맑음북창원34.8℃
  • 맑음양산시34.6℃
  • 맑음보성군34.2℃
  • 구름조금강진군35.1℃
  • 구름조금장흥33.7℃
  • 구름조금해남33.2℃
  • 맑음고흥34.5℃
  • 맑음의령군34.5℃
  • 맑음함양군35.9℃
  • 맑음광양시34.7℃
  • 맑음진도군32.7℃
  • 맑음봉화34.5℃
  • 구름조금영주34.9℃
  • 맑음문경35.5℃
  • 구름조금청송군37.2℃
  • 맑음영덕31.5℃
  • 맑음의성36.9℃
  • 맑음구미37.3℃
  • 맑음영천35.1℃
  • 맑음경주시34.6℃
  • 맑음거창34.4℃
  • 맑음합천36.2℃
  • 맑음밀양37.6℃
  • 맑음산청
  • 맑음거제32.6℃
  • 맑음남해33.6℃
  • 맑음34.5℃
기상청 제공
뻥튀기되는 관람객수가 지역축제의 성공의 바로미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이드

뻥튀기되는 관람객수가 지역축제의 성공의 바로미터?

30.PNG

지난 2017년 재밌는 기사가 있었다. 중앙 경제전문신문에서 휴대폰 빅데이터를 근거로 지역축제에 실제로 방문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한 기사다.  

이 기사에 따르면 그해 문화관광축제 총 관광객수는 1,484만 5,945명이지만 빅데이터에 잡힌 숫자는 533만 6292명으로 3분의 1수 준에 불과 했던 것이다.  

알만한 사람들은 왜 차이가 나는지 다들 알고 있는 내용이다. 뻥튀기 한 것이다. 그 원인은 관람객수로 축제의 성패를 판단하고 문화관광축제를 선정해 에산을 내려주는 것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 보고를 담당하는 사람은 행사의 주최측이나 대행사에게 좋지 않은 결과보고를 하기 어렵다.

물론 그것이 가장 큰 이유는 아니지만 입장권을 파는 축제가 아닌 이상 대부분 무료 축제의 관람객 카운팅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축제 관람객수는 축제 성과의 바로미터로 판단되기에 부풀리기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원인이다. 

또 다른 문제는 한번 부풀려진 관람객수는 웬만해서 바로잡기가 어렵고 다음 예산 배정에 불필요한 낭비를 낳게 된다.

물론 좋은 콘턴츠로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게 가장 훌륭한 방법이다. 이렇다 보니 축제에 너도 나도 좋아 하는 10대부터 70대까지 아우를수 있는 가수들을 부르기 시작한다.  문제는 이 가수들을 섭외 하는데 작게는 몇백 크게는 천단위가 넘어가고는 한다. 

또한 이에 걸맞는 무대를 만들어주기 위해 무대 설치비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양질의 콘텐츠 비용으로 써야 할 돈이 대부분 인기 가수 섭외비로 빠지게 되다 보니 축제의 질은 떨어지고 덩달아 실제 방문하는 관광객 수도 줄어 들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누군가 끊어야 하지만 행사와 지역사 회의 이권, 정치인 문제 등 여러 가지로 얽히고 설킨 복잡한 상황에서 오는 부담은 한 사람이 감당 하기에 너무나도 크다.

만선 완.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