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31 (목)

  • 흐림속초28.0℃
  • 흐림28.4℃
  • 흐림철원28.0℃
  • 흐림동두천29.1℃
  • 흐림파주28.5℃
  • 흐림대관령22.0℃
  • 구름많음춘천27.6℃
  • 흐림백령도26.4℃
  • 구름많음북강릉28.6℃
  • 흐림강릉28.2℃
  • 흐림동해29.0℃
  • 흐림서울30.0℃
  • 흐림인천29.1℃
  • 흐림원주27.7℃
  • 흐림울릉도28.6℃
  • 구름많음수원29.4℃
  • 흐림영월25.1℃
  • 흐림충주28.2℃
  • 구름많음서산30.4℃
  • 흐림울진28.3℃
  • 흐림청주29.5℃
  • 흐림대전27.9℃
  • 구름많음추풍령26.0℃
  • 구름많음안동28.6℃
  • 구름많음상주27.7℃
  • 구름많음포항28.5℃
  • 구름많음군산28.0℃
  • 구름많음대구28.8℃
  • 구름많음전주30.9℃
  • 구름많음울산29.8℃
  • 구름조금창원29.2℃
  • 구름많음광주29.3℃
  • 구름조금부산30.4℃
  • 맑음통영29.8℃
  • 구름조금목포29.1℃
  • 구름조금여수27.7℃
  • 구름조금흑산도28.0℃
  • 구름조금완도31.7℃
  • 구름많음고창30.5℃
  • 구름조금순천28.5℃
  • 구름많음홍성(예)30.2℃
  • 흐림28.4℃
  • 구름조금제주30.4℃
  • 구름조금고산28.6℃
  • 구름조금성산30.0℃
  • 구름많음서귀포29.9℃
  • 구름많음진주28.2℃
  • 흐림강화27.8℃
  • 흐림양평27.8℃
  • 흐림이천28.6℃
  • 흐림인제25.7℃
  • 흐림홍천26.2℃
  • 흐림태백24.6℃
  • 흐림정선군24.1℃
  • 흐림제천25.4℃
  • 흐림보은25.9℃
  • 흐림천안27.9℃
  • 흐림보령29.6℃
  • 흐림부여27.6℃
  • 구름많음금산27.1℃
  • 흐림27.4℃
  • 구름많음부안29.2℃
  • 구름조금임실28.3℃
  • 구름많음정읍30.0℃
  • 구름많음남원28.9℃
  • 구름많음장수26.5℃
  • 구름많음고창군30.0℃
  • 구름많음영광군29.7℃
  • 구름조금김해시30.5℃
  • 구름많음순창군28.6℃
  • 구름많음북창원30.1℃
  • 구름조금양산시31.5℃
  • 구름조금보성군29.0℃
  • 구름많음강진군30.6℃
  • 구름조금장흥29.8℃
  • 구름조금해남30.2℃
  • 구름조금고흥31.1℃
  • 맑음의령군27.0℃
  • 구름많음함양군27.2℃
  • 구름많음광양시29.3℃
  • 구름조금진도군29.7℃
  • 흐림봉화24.4℃
  • 흐림영주25.8℃
  • 흐림문경26.7℃
  • 흐림청송군26.6℃
  • 구름많음영덕27.9℃
  • 흐림의성26.7℃
  • 구름많음구미28.3℃
  • 구름많음영천28.9℃
  • 구름조금경주시28.0℃
  • 구름조금거창25.4℃
  • 구름조금합천28.0℃
  • 구름조금밀양28.2℃
  • 구름조금산청27.8℃
  • 맑음거제28.4℃
  • 구름조금남해27.2℃
  • 구름조금31.1℃
기상청 제공
[사설] 지역화폐 이대로 괜찮은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설] 지역화폐 이대로 괜찮은가

지역 화폐는 IMF 이후로 시민운동의 형태로 처음 도입되었다.

현재 해외의 몇몇 지역 예를 들자면 영국 브리스톨시나 우리나라의 몇몇 지역에서 지역 화폐에 대한 이점 덕분에 지역 화폐를 도입했지만 아직 효율성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이 남아있어 여러 가지로 의견이 분분히 갈라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마다 지역화폐가 기승이다.

며칠 전 영광군에서는 명절을 앞두고 지역 화폐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제시된 “지역화폐 10%할인”이라는 현수막을 내 걸었다.

좋은 시점에서 본다면 지역화폐의 활성화를 위한 군민에게 돌려주는 영광군의 대안이지만

말 그대로 영광군이 군민에게 깡을 하라고 부추기는 꼴인셈이다.

뭐 어쨌든 투기를 막기 위해 한명 당 화폐교환을 50만원으로 제한한다는 문구도 함께 내 걸었다.

지역 경제를 살리고 지역의 중소상인을 지원한다는 취지로 지역화폐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지만 영광군은 지역 화폐 열풍에 앞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 할 것을 인지하지 않은 채 활성화 방안만 모색하고 있는 꼴로 보인다.

자, 이제 보자, 지역화폐는 과연 형평성이 있는가?

지역 화폐에 대해서 아는 사람만 발급받아 혜택을 본다는 것이다. 지역화폐가 뭔지도 모르고 어떻게 발급받아야 하는지도 모르는 어르신 등 정보접근성이 떨어지는 영광군민들은 혜택을 받을 수가 없다. 정부돈은 먼저 본 사람이 임자라고 아는 사람만 누리는 이런 정책이 바람직한가를 심히 고민해 봐야 한다.

또한 지역 화폐를 통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으려면 소득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현금으로 충전해 쓰기 때문에 현금이 있는 사람은 최대 10%의 환급을 받고 여유 돈 없이 카드로 한 달 버티는 서민층이나 소외계층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즉, 지역화폐를 사용하지 않거나 구매력이 없는 사람은 세금만 내고 있는 셈이 되는 것이다.

지방세 세금 걷어서 선심성으로 나눠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지자체의 모습 또한 보인다. 지자체가 서로 경쟁하여 결국은 지역 시민들이 불평을 제기할 것이고, 동일한 또는 그 보다 더 혜택이 좋은 지역화폐를 발행을 지역 주민은 요구하게 되어 이는 점차 지자체의 재정이 부담 될 것이다.

결국에는 퍼주기식 예산이 또 다른 세금을 증액 시킬 테고 가령 선심성으로 지역화폐에 예산이 낭비되고 부족부분을 채우려고 다른 세금이 늘어나게 되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 이다.

조삼모사라는 사자성어처럼 과연 바람직한 정책인지 다시 한 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