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26 (토)

  • 맑음속초14.1℃
  • 맑음5.7℃
  • 맑음철원4.7℃
  • 맑음동두천6.8℃
  • 맑음파주5.1℃
  • 맑음대관령5.1℃
  • 맑음춘천6.0℃
  • 맑음백령도11.4℃
  • 맑음북강릉13.3℃
  • 맑음강릉12.4℃
  • 맑음동해13.0℃
  • 맑음서울9.6℃
  • 맑음인천9.2℃
  • 맑음원주7.0℃
  • 맑음울릉도10.4℃
  • 맑음수원6.2℃
  • 맑음영월5.3℃
  • 맑음충주5.1℃
  • 맑음서산5.7℃
  • 맑음울진11.3℃
  • 맑음청주9.8℃
  • 맑음대전8.9℃
  • 맑음추풍령9.5℃
  • 맑음안동9.1℃
  • 맑음상주10.3℃
  • 맑음포항12.5℃
  • 맑음군산8.3℃
  • 맑음대구12.5℃
  • 맑음전주7.7℃
  • 맑음울산10.7℃
  • 맑음창원11.8℃
  • 맑음광주8.8℃
  • 맑음부산12.4℃
  • 맑음통영13.0℃
  • 맑음목포9.2℃
  • 맑음여수11.9℃
  • 맑음흑산도9.7℃
  • 맑음완도8.5℃
  • 맑음고창4.3℃
  • 맑음순천8.8℃
  • 맑음홍성(예)8.2℃
  • 맑음7.3℃
  • 맑음제주11.4℃
  • 구름조금고산11.9℃
  • 맑음성산11.0℃
  • 구름조금서귀포12.7℃
  • 맑음진주5.9℃
  • 맑음강화8.9℃
  • 맑음양평7.4℃
  • 맑음이천8.2℃
  • 맑음인제5.4℃
  • 맑음홍천6.8℃
  • 맑음태백6.0℃
  • 맑음정선군4.8℃
  • 맑음제천3.3℃
  • 맑음보은4.1℃
  • 맑음천안3.7℃
  • 맑음보령5.2℃
  • 맑음부여4.4℃
  • 맑음금산4.2℃
  • 맑음6.0℃
  • 맑음부안6.6℃
  • 맑음임실3.4℃
  • 맑음정읍5.0℃
  • 맑음남원4.6℃
  • 맑음장수2.6℃
  • 맑음고창군4.6℃
  • 맑음영광군5.0℃
  • 맑음김해시10.9℃
  • 맑음순창군4.9℃
  • 맑음북창원13.1℃
  • 맑음양산시12.1℃
  • 맑음보성군8.4℃
  • 맑음강진군6.3℃
  • 맑음장흥4.0℃
  • 맑음해남5.6℃
  • 맑음고흥7.9℃
  • 맑음의령군6.9℃
  • 맑음함양군7.8℃
  • 맑음광양시10.5℃
  • 맑음진도군5.6℃
  • 맑음봉화2.3℃
  • 맑음영주9.7℃
  • 맑음문경8.7℃
  • 맑음청송군8.0℃
  • 맑음영덕11.3℃
  • 맑음의성5.2℃
  • 맑음구미9.6℃
  • 맑음영천10.8℃
  • 맑음경주시12.4℃
  • 맑음거창4.3℃
  • 맑음합천6.4℃
  • 맑음밀양9.4℃
  • 맑음산청11.6℃
  • 맑음거제10.5℃
  • 맑음남해11.8℃
  • 맑음10.0℃
기상청 제공
주 52시간 근로제 계도 기간 종료, 위반 땐 시정명령 뒤 처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 52시간 근로제 계도 기간 종료, 위반 땐 시정명령 뒤 처벌

김형호칼럼


30.PNG

주 52시간 근무제가 지난 9개월간의 처벌 유예 기간을 끝내고 4월 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제대로 실행된다.  이를 위반한 기업들에 최대 4개월간의 시정 기간이 주어지지만 그럼에도 시정 되지 않을 땐 처벌받는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보완 할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법안이 여전히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 현장에선 혼란도 예상된다.  고용노동부는 300인 이상 사업장의 주 52시간 근무제 계도 기간을 종료한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1일부터 위반 기업에 처벌 절차가 진행되,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를 위반한 사업주는 2년 이하 징역형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 52시간 근무제를 위반했다고 해서 바로 처벌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시정명령이 내려지고 시정 기간 이후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처벌받는다. 

근로시간 위반 시정 기간은 기존 3개월에 1개월을 추가로 연장할 수 있어 최대 4개 월가량 주어진다.   

앞서 고용부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하면서도 위반에 따른 처벌을 유예하는 계도 기간을 뒀다.   

지난해 12월 말까지 처벌을 유예하기로 했지만 ‘준비 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현장의 요청으로 올3월 말까지 한 차례 더 연장했다. 50 ∼299인 사업장에선 내년부터, 5∼49인 사업장에서는 2021년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다. 

강행 규정이어서 노사 합의를 해도 주5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업종별 특수 수요가 있어 1주 최대 근로시간을 52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불가능한 기업들도 있다.  

이들에겐 일정한 단위 기간을 주고 이 안에서 근로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탄력근로제를 확대하는 논의가 국회에서 진행중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된 근로기준법 개정안에는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내용이 담겨 있다. 

반면 야당과 경영계는 탄력 근로제 단위 기간을 최대 1년으로 하자는 입장이다.  여야간 간극이 커서 오는 5일까지 회기인 3월 임시국 회에서 개정안 통과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일에 효율성·생산 성을 더 다져 업주, 근로자 모두가시간과 돈이라는 이득을 갖자는 것이며, 52시간 근로제는 부분의 이익, 손해를 떠나서 대다수 국민을 위한 정책인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업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이로운 일이 되야 할 것이다.  이렇게 긍정적으로 바라 보며, 협심하는 노력을 같이 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8.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