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4.06.01 (토)

  • 흐림속초16.3℃
  • 구름많음19.4℃
  • 구름많음철원17.4℃
  • 구름많음동두천18.2℃
  • 맑음파주19.5℃
  • 흐림대관령15.6℃
  • 구름많음춘천19.6℃
  • 맑음백령도17.2℃
  • 흐림북강릉17.7℃
  • 구름많음강릉19.6℃
  • 구름많음동해19.8℃
  • 구름조금서울19.4℃
  • 맑음인천19.0℃
  • 구름많음원주18.2℃
  • 흐림울릉도17.5℃
  • 구름많음수원19.6℃
  • 구름많음영월19.7℃
  • 흐림충주18.3℃
  • 구름많음서산19.0℃
  • 구름조금울진20.6℃
  • 구름많음청주20.3℃
  • 구름많음대전19.2℃
  • 구름많음추풍령18.7℃
  • 구름조금안동19.9℃
  • 구름조금상주20.7℃
  • 구름조금포항22.8℃
  • 흐림군산17.3℃
  • 구름많음대구22.1℃
  • 구름많음전주18.3℃
  • 구름조금울산22.9℃
  • 구름많음창원22.9℃
  • 구름많음광주18.5℃
  • 구름조금부산23.1℃
  • 맑음통영22.6℃
  • 구름많음목포18.7℃
  • 구름조금여수21.2℃
  • 구름많음흑산도19.0℃
  • 구름많음완도20.0℃
  • 구름많음고창19.1℃
  • 구름많음순천18.4℃
  • 구름많음홍성(예)18.9℃
  • 흐림18.5℃
  • 비제주19.7℃
  • 구름많음고산18.3℃
  • 구름많음성산21.8℃
  • 구름많음서귀포21.4℃
  • 구름조금진주21.6℃
  • 맑음강화19.1℃
  • 구름많음양평18.4℃
  • 구름많음이천20.4℃
  • 흐림인제15.8℃
  • 구름많음홍천19.2℃
  • 흐림태백18.0℃
  • 구름많음정선군19.2℃
  • 구름많음제천17.3℃
  • 구름많음보은19.1℃
  • 흐림천안17.6℃
  • 흐림보령17.4℃
  • 흐림부여19.1℃
  • 구름많음금산18.7℃
  • 흐림18.3℃
  • 흐림부안18.2℃
  • 구름많음임실16.8℃
  • 구름많음정읍19.6℃
  • 흐림남원18.1℃
  • 구름많음장수17.4℃
  • 구름많음고창군18.5℃
  • 구름많음영광군18.7℃
  • 구름많음김해시22.7℃
  • 구름많음순창군17.9℃
  • 구름많음북창원23.2℃
  • 구름많음양산시24.5℃
  • 구름많음보성군20.6℃
  • 구름많음강진군20.6℃
  • 구름많음장흥20.0℃
  • 구름많음해남19.0℃
  • 구름조금고흥21.0℃
  • 구름많음의령군23.0℃
  • 구름많음함양군20.1℃
  • 구름조금광양시21.5℃
  • 구름많음진도군20.0℃
  • 구름많음봉화18.6℃
  • 흐림영주17.5℃
  • 구름많음문경20.3℃
  • 구름많음청송군21.3℃
  • 맑음영덕21.7℃
  • 구름조금의성20.7℃
  • 구름많음구미21.5℃
  • 구름조금영천22.6℃
  • 구름조금경주시22.8℃
  • 구름많음거창20.2℃
  • 구름많음합천22.1℃
  • 구름많음밀양22.6℃
  • 구름많음산청20.9℃
  • 맑음거제22.3℃
  • 구름조금남해21.8℃
  • 구름많음23.8℃
기상청 제공
“30년 전 값도 좋다고 전량수매나 바라다니…”<br>타들어가는 農心…분노와 한숨만 가득한 들녁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전 값도 좋다고 전량수매나 바라다니…”
타들어가는 農心…분노와 한숨만 가득한 들녁

신춘화 농민회장 무정책·무대책·무대응 농정 비판

농민회가 영광군청에 마련한 고 백남기 씨 분향소를 찾은 농민들. 이렇게 가다가는 머잖아 죽어버릴 ‘농업’의 분향소를 찾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듯 숙연하다.

대통령 선거를 앞둔 2012년 쌀 80Kg(나락 1섬) 가격은 17만 원 이었다. 박근혜 후보는 21만 원 유지를 공약했다. 당선 후 매년 쌀값은 내려만 갔다. 96,250원까지. 농민들 기억으로는 30년 전 가격이다.

공약(公約)은 공약(空約이 됐다. 올 쌀농사는 사상 유래 없는 대풍이다. 유래 없는 대풍은 유래 없는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영농비는 오르는데 정부 수매가는 낮아진다. 덩달아 각 지역 단위농협이 대주주인 RPC(미곡처리장)를 통한 수매가도 낮아진다. 수매하고 남은 쌀은 처분할 길이 막연하다. 대풍으로 남아도는 양만큼 처리할 길은 막막하다. 창고 임대료 부담만 커지게 된 실정이다.

올 쌀 생산량은 작년 432만7000톤 보다 많은 450만톤 이상으로 예상된다. 쌀 20Kg 도매가격은 6년만에 최저인 34000 원까지 떨어졌다. 정부 수매가는 45,000 원으로 예정됐다. 농협 등을 통한 수매는 35,000원 정도로 예상된다. 그나마 일정량 이상은 수매하지 않는다. 남는 쌀은 어찌하나 걱정이다. 가격을 불문하고 전량수매를 요구하는 이유다.

30년 전 가격으로 팔고 남으면 창고 보관료 물면서 저장하는 길밖에 없다. 농민들은 말한다. 정부 당국자들은 30년 전 월급 받으면서 살 수 있느냐고. 농민들은 수입쌀에 밀려 찬밥 신세로 전락한 우리 쌀을 끌어안고 눈물을 삼켜야 할 처지다. 대정부 시위중 물대포를 맞고 쓰러진지 10개월여 만에 숨진 백남기씨 분향소가 마련된 영광군청 마당에서 22일 만난 묘량면 노모 씨(67)는 “30년 전 가격이라도 전량수매나 해달라는 우리 처지가 딱하다”며 분노 어린 한숨만 쉬었다.

정부는 근본적 대책은커녕 당장 농민의 눈물을 닦아줄 1회용도 내놓지 않고 있다. 무(無)대책이다. 학계에서는 품질 좋은 쌀은 높은 가치를 인정받게 하는 차별화 전략, 작물전환시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평균적 쌀 대량 생산을 유도하는 정책구조를 뿌리부터 고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춘화 영광 농민회장(65)은 정부의 농정을 3무(無)로 규정한다. 무정책·무대책·무대응이다. 신 회장은 불만에 찬 농민들의 시위가 예년보다 격렬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도덕성 해이와 능력 부족 등으로 부실을 자초한 해운·조선사에 수조 원씩 퍼부으면서 농업에는 인색한 정부를 질타했다. “정부에 대책을 요구하면 뭣하나. 정권교체 외에는 길이 없다. 스위스는 5%의 농업을 살리기 위해 FTA를 거부했다. 그런 정권이어야 한다.” 정권교체 외에는 희망이 없다는 말이다. 농민들의 분노를 대변하는 목소리다. <관계기사 2면· 5면> 조철상 기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