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19 (토)

  • 구름많음속초23.2℃
  • 안개23.1℃
  • 흐림철원22.4℃
  • 흐림동두천22.2℃
  • 흐림파주22.6℃
  • 흐림대관령20.1℃
  • 구름많음춘천23.0℃
  • 비백령도21.9℃
  • 흐림북강릉23.2℃
  • 흐림강릉24.6℃
  • 구름많음동해24.0℃
  • 천둥번개서울24.8℃
  • 천둥번개인천22.2℃
  • 구름많음원주23.7℃
  • 비울릉도23.2℃
  • 흐림수원25.0℃
  • 구름많음영월22.5℃
  • 흐림충주24.5℃
  • 구름많음서산24.3℃
  • 흐림울진22.8℃
  • 흐림청주25.3℃
  • 비대전23.8℃
  • 흐림추풍령21.8℃
  • 흐림안동23.5℃
  • 흐림상주22.7℃
  • 비포항22.2℃
  • 흐림군산24.5℃
  • 비대구21.6℃
  • 비전주24.0℃
  • 비울산21.2℃
  • 비창원24.7℃
  • 비광주24.5℃
  • 비부산24.6℃
  • 흐림통영24.7℃
  • 흐림목포24.9℃
  • 흐림여수25.9℃
  • 안개흑산도24.1℃
  • 구름많음완도25.9℃
  • 흐림고창24.8℃
  • 흐림순천23.6℃
  • 비홍성(예)24.6℃
  • 흐림23.6℃
  • 흐림제주26.3℃
  • 구름많음고산25.5℃
  • 구름많음성산25.7℃
  • 구름많음서귀포26.4℃
  • 흐림진주21.7℃
  • 흐림강화23.2℃
  • 구름많음양평23.5℃
  • 흐림이천24.0℃
  • 구름많음인제22.2℃
  • 흐림홍천23.4℃
  • 흐림태백20.5℃
  • 구름많음정선군22.5℃
  • 흐림제천21.7℃
  • 흐림보은23.4℃
  • 흐림천안24.2℃
  • 구름많음보령25.2℃
  • 흐림부여24.3℃
  • 흐림금산23.4℃
  • 흐림23.7℃
  • 흐림부안24.1℃
  • 흐림임실22.9℃
  • 흐림정읍24.5℃
  • 흐림남원24.0℃
  • 흐림장수21.8℃
  • 흐림고창군24.7℃
  • 흐림영광군24.8℃
  • 흐림김해시24.3℃
  • 흐림순창군22.9℃
  • 흐림북창원25.5℃
  • 흐림양산시24.5℃
  • 흐림보성군25.0℃
  • 흐림강진군25.4℃
  • 흐림장흥25.3℃
  • 흐림해남26.7℃
  • 흐림고흥26.5℃
  • 흐림의령군21.4℃
  • 흐림함양군22.2℃
  • 흐림광양시24.5℃
  • 흐림진도군26.2℃
  • 흐림봉화22.3℃
  • 흐림영주23.1℃
  • 흐림문경22.5℃
  • 흐림청송군22.2℃
  • 흐림영덕23.5℃
  • 흐림의성23.2℃
  • 흐림구미22.7℃
  • 흐림영천21.7℃
  • 흐림경주시21.5℃
  • 흐림거창22.4℃
  • 흐림합천22.1℃
  • 흐림밀양22.6℃
  • 흐림산청22.3℃
  • 흐림거제25.2℃
  • 흐림남해25.8℃
  • 비25.3℃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계절근로자? 처음 들어봐요” 영광군 농민은 모르고, 행정만 아는 제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 “계절근로자? 처음 들어봐요” 영광군 농민은 모르고, 행정만 아는 제도

서류로는 ‘지원 중’이지만 밭에선 일손 구하기 전쟁 여전

유창수 프로필 사진.jpg
유창수 기자

매년 농번기철 고추밭과 파밭이 익어갈 무렵이면, 전남 영광군의 농민들은 ‘수확의 기쁨’보다 ‘사람 걱정’부터 앞선다. 돈을 줘도 일할 사람이 없고, 자식들은 도시로 떠났으며, 이웃 어르신들조차 더는 몸을 움직이기 어렵다. 그래서 불법체류자라도 데려오고 싶지만, 법은 무섭고 행정은 멀다.

그런 와중에 ‘계절근로자 제도’라는 말이 나온다. 외국인 합법 인력을 일정 기간 농촌에 배치하는 제도다. 그런데 정작 그 제도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농민이 태반이다.

이것이 지금 영광 농촌의 현실이다. 제도는 있다. 규정도 있다. 예산도 책정되어 있다. 하지만 ‘사람’에게 도달하지 못한 제도는 그저 종이일 뿐이다. 농민이 필요한 것은 ‘서류상 존재하는 지원’이 아니라, 실제로 낯선 밭에 발을 디딜 수 있는 ‘사람’이다.

영광군 농정팀도 “홍보가 부족했다”고 시인했다. 읍·면사무소에 공문을 내리고 끝낸 것이 전부였다는 것이다. 공문이 제도 확산의 끝이라면, 진짜 일하는 주체인 농민은 언제 그 내용을 접할 수 있단 말인가. 주말마다 시장을 들르고, 새벽부터 밭에 나가는 노령의 농민들이 컴퓨터나 전단지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건 애초부터 불가능한 가정이다.

옆 동네 전북 고창군은 달랐다. 농협과 외국 지방정부가 직접 MOU를 맺고, 2,800명에 이르는 외국인 인력을 들여왔다. 심지어 숙소 리모델링에 예산을 쏟고, 공공형 근로센터를 운영해 ‘현장 밀착형 행정’을 실현했다. “농가가 힘들어하니 우리가 앞장서겠다”는 철학이 있었다는 뜻이다.

반면, 영광은? 이주여성 친족 중심의 ‘소규모 실험’만 이어왔다. ‘공공형 계절근로’라는 말은 2025년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꺼내드는 중이다.

문제는 시간이다. 농사는 계절을 기다리지 않고, 일손의 부족은 곧 수확의 포기와 연결된다. 올해 상반기에도 영광에는 299명의 계절근로자가 신청되었지만, 이는 전체 수요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홍보 부족, 인식 부족, 시스템 부족. 부족한 것 투성이다.

이제는 군청이 단순히 제도를 '갖추었다'고 자평할 때가 아니다. 정보는 전달되어야만 의미가 있고, 제도는 쓰일 때에만 존재한다. 민원 창구에만 걸린 안내문으론 부족하다. 면사무소 단위 현장 설명회, 농협과의 협력 홍보, 마을 이장과의 연계 등 실질적인 전달망을 짜야 한다.

지금 농촌은, 사람이 줄고 있다. 농민이 떠나고, 청년은 돌아오지 않는다. 단순한 수치상 ‘인력 배치’가 아니라, 지역 농업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문제다.

영광군은 지금이라도 물어야 한다. “제도를 만들었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농민이 왜 쓰지 못했는가?”를 묻고, 그 답을 찾아야 한다. 탁상 위의 정책은 밭 한 귀퉁이에도 닿지 못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ChatGPT Image 2025년 6월 27일 오후 03_15_32.png
<사진=ChatGP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