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7.31 (목)

  • 흐림속초27.2℃
  • 흐림26.5℃
  • 흐림철원26.3℃
  • 흐림동두천28.8℃
  • 흐림파주28.0℃
  • 흐림대관령20.3℃
  • 흐림춘천26.0℃
  • 흐림백령도26.4℃
  • 흐림북강릉26.7℃
  • 흐림강릉26.4℃
  • 흐림동해25.5℃
  • 흐림서울29.6℃
  • 흐림인천28.6℃
  • 흐림원주26.7℃
  • 구름많음울릉도27.5℃
  • 흐림수원28.9℃
  • 흐림영월23.8℃
  • 흐림충주26.8℃
  • 흐림서산27.6℃
  • 흐림울진26.0℃
  • 흐림청주28.7℃
  • 흐림대전27.5℃
  • 흐림추풍령25.3℃
  • 구름많음안동26.3℃
  • 흐림상주26.5℃
  • 구름많음포항27.0℃
  • 흐림군산26.4℃
  • 흐림대구26.5℃
  • 흐림전주27.0℃
  • 구름많음울산27.9℃
  • 구름많음창원28.3℃
  • 구름많음광주27.9℃
  • 구름조금부산29.5℃
  • 구름조금통영28.5℃
  • 구름많음목포27.7℃
  • 구름조금여수26.4℃
  • 구름많음흑산도25.8℃
  • 구름조금완도30.2℃
  • 구름많음고창27.6℃
  • 구름조금순천25.2℃
  • 흐림홍성(예)27.5℃
  • 흐림26.8℃
  • 구름조금제주29.4℃
  • 구름많음고산27.0℃
  • 구름조금성산29.3℃
  • 구름많음서귀포28.6℃
  • 구름많음진주25.1℃
  • 흐림강화27.8℃
  • 흐림양평26.7℃
  • 흐림이천27.2℃
  • 흐림인제24.9℃
  • 흐림홍천24.9℃
  • 흐림태백21.5℃
  • 흐림정선군22.3℃
  • 흐림제천24.0℃
  • 흐림보은24.6℃
  • 흐림천안27.0℃
  • 흐림보령27.5℃
  • 흐림부여26.5℃
  • 흐림금산25.8℃
  • 흐림26.5℃
  • 흐림부안26.8℃
  • 구름많음임실24.6℃
  • 구름많음정읍27.6℃
  • 구름많음남원25.3℃
  • 구름많음장수23.5℃
  • 구름많음고창군28.1℃
  • 구름많음영광군27.3℃
  • 맑음김해시28.0℃
  • 구름많음순창군25.9℃
  • 구름조금북창원28.8℃
  • 구름조금양산시28.5℃
  • 구름조금보성군29.0℃
  • 구름조금강진군29.2℃
  • 구름조금장흥28.9℃
  • 구름많음해남28.4℃
  • 구름조금고흥29.7℃
  • 구름많음의령군24.1℃
  • 구름많음함양군24.9℃
  • 구름많음광양시26.9℃
  • 구름조금진도군28.9℃
  • 흐림봉화22.4℃
  • 흐림영주25.2℃
  • 흐림문경25.4℃
  • 흐림청송군23.9℃
  • 구름많음영덕26.3℃
  • 흐림의성25.4℃
  • 흐림구미26.7℃
  • 구름많음영천26.5℃
  • 구름많음경주시25.4℃
  • 흐림거창24.6℃
  • 구름많음합천24.2℃
  • 구름많음밀양26.5℃
  • 구름많음산청24.5℃
  • 구름조금거제28.6℃
  • 구름많음남해26.3℃
  • 구름조금29.2℃
기상청 제공
뻥튀기되는 관람객수가 지역축제의 성공의 바로미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뻥튀기되는 관람객수가 지역축제의 성공의 바로미터?

30.PNG

지난 2017년 재밌는 기사가 있었다. 중앙 경제전문신문에서 휴대폰 빅데이터를 근거로 지역축제에 실제로 방문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한 기사다.  

이 기사에 따르면 그해 문화관광축제 총 관광객수는 1,484만 5,945명이지만 빅데이터에 잡힌 숫자는 533만 6292명으로 3분의 1수 준에 불과 했던 것이다.  

알만한 사람들은 왜 차이가 나는지 다들 알고 있는 내용이다. 뻥튀기 한 것이다. 그 원인은 관람객수로 축제의 성패를 판단하고 문화관광축제를 선정해 에산을 내려주는 것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 보고를 담당하는 사람은 행사의 주최측이나 대행사에게 좋지 않은 결과보고를 하기 어렵다.

물론 그것이 가장 큰 이유는 아니지만 입장권을 파는 축제가 아닌 이상 대부분 무료 축제의 관람객 카운팅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축제 관람객수는 축제 성과의 바로미터로 판단되기에 부풀리기를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원인이다. 

또 다른 문제는 한번 부풀려진 관람객수는 웬만해서 바로잡기가 어렵고 다음 예산 배정에 불필요한 낭비를 낳게 된다.

물론 좋은 콘턴츠로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게 가장 훌륭한 방법이다. 이렇다 보니 축제에 너도 나도 좋아 하는 10대부터 70대까지 아우를수 있는 가수들을 부르기 시작한다.  문제는 이 가수들을 섭외 하는데 작게는 몇백 크게는 천단위가 넘어가고는 한다. 

또한 이에 걸맞는 무대를 만들어주기 위해 무대 설치비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양질의 콘텐츠 비용으로 써야 할 돈이 대부분 인기 가수 섭외비로 빠지게 되다 보니 축제의 질은 떨어지고 덩달아 실제 방문하는 관광객 수도 줄어 들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누군가 끊어야 하지만 행사와 지역사 회의 이권, 정치인 문제 등 여러 가지로 얽히고 설킨 복잡한 상황에서 오는 부담은 한 사람이 감당 하기에 너무나도 크다.

만선 완.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